한국 핵추진잠수함 건조 길 열렸다

2025-10-30     이명진 기자
李대통령 '핵잠수함' 제안에 트럼프 공감…후속협의 진행키로
트럼프, 李 요청 하루 만에 건조 승인…건조기업 한화오션 낙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다음날인 30일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하면서 우리 군의 숙원사업이었던 원자력 추진 잠수함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9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핵추진 잠수함의 연료로 쓰이는 농축우라늄의 공급을 요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승인하면서 핵추진 잠수함 건조 기회가 열린 것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회담 직후 경주 국제미디어센터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두 정상은 경제상황은 물론이고 동맹 현대화, 한반도 평화, 지역 정세, 한미 간 조선제조업 협력 등 포괄적 의제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반도와 역내 평화 안정을 위한 한미동맹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고, 탈냉전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역내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비 증대와 함께 핵추진잠수함 도입 문제를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북한의 핵잠수함 건조 등 여건 변화에 따라 한국이 핵추진잠수함 능력을 필요로 한다는 데 공감을 표하면서 후속 협의를 해나가자고 했다고 위 실장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 사용 후 핵 연료 재처리 등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며 "핵연료 상당 부분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원전 폐기물 처리도 시급하다"고 언급했다고 위 실장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공감을 표하면서 한국의 진전된 역량을 토대로 원자력 등 핵심 전략산업 분야에서 더 큰 협력 기회를 모색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요청한 핵추진잠수함 연료 공급 허용을 위해선 기존의 한미 원자력 협정을 손봐야 한다면서 "핵연료는 군사적 목적에 쓰이는데, 기존 원자력 협정은 군사적 목적엔 적용되지 않아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자력 협정 개정 논의 전망과 관련해선 "기존 협의를 통해 일정한 방향성에 대한 양해가 이뤄져 있다"며 "앞으로 구체적 진전을 위한 협의를 해나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기업으로 국내 특수선 '양강'인 한화오션이 낙점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핵추진 잠수함을 바로 여기 훌륭한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필리조선소)에서 건조할 것"이라며 한화필리조선소를 건조장소로 지목했다.

한화오션은 특수선 분야 경쟁업체인 HD현대중공업과 비교해 잠수함 건조실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미국 현지에 한화필리조선소를 보유해 트럼프 대통령의 선택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