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AI와 로봇 활용한 스마트 돌봄 서비스 추진
안전·교육·보건 돌봄 로봇 서비스 등 ‘AI 스마트 돌봄 로봇 시범 보급 ’
2025-11-16 이창훈 기자
16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철우 도지사가 주재한 저출생과의 전쟁 혁신 대책 회의에서 발표한 AI 기반 돌봄 서비스 스마트화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 돌봄과 AI를 결합한 서비스 제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경북도는 AI 스마트 돌봄 로봇 상용화를 목표로 △AI 스마트 돌봄 로봇 시범 보급 사업 △AI 돌봄 혁신 국가 공모사업 유치 △AI 스마트 돌봄 신속 실증 지역 거점 조성 등을 추진한다.
우선 AI 스마트 돌봄 로봇 시범 보급 사업을 진행한다.
내년부터 10억 원을 투입해 아동 돌봄 시설 10개소에 안전, 교육, 보건 3대 분야에 AI 기반 돌봄 로봇 100여 대를 보급해 현장 돌봄 인력 부족을 보완하고 AI와 로봇을 활용해 돌봄, 교육 및 향후 AS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저출생 분야, 고령사회 대응 분야 AI 돌봄 혁신 국가 공모사업 유치에도 적극 나선다.
국책 연구기관, 공공기관, 대학, 기업 등 AI 및 로봇 전문가들로 구성된 ‘AI 스마트 돌봄 경북협의체’를 구성해, 정책 기획, 프로젝트 발굴, 공모사업 대응 등을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이번달 24일에는 공무원, 공공기관, 돌봄 시설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도청에서 AI 스마트 돌봄 전문가 릴레이 특강도 진행한다.
AI 스마트 돌봄 신규 사업 발굴에도 나섰다.
도는 AI 스마트 돌봄은 인간 중심의 돌봄과 기술 중심의 로봇이 결합하는 모델로 이를 검증하고 실증할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판단, AI 기반 스마트 돌봄 신속 실증 거점 지역 조성도 하기로 했다.
AI 기반 스마트 돌봄 신속 실증 거점 지역 조성은 지역 거점형 AI 돌봄 데이터 허브 구축, AI 돌봄 제품 신속 개발‧사업화 지원, AI 돌봄 서비스 신속 실증 플랫폼 구축 등이 주요 내용이며 지난 10월부터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저출생, 고령화, 인구 축소 등 인구 위기에 돌봄 인력 부족은 가장 큰 문제인 만큼 AI 등 첨단기술을 돌봄에 결합해 일손 부족을 덜어드리고 AI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공공에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출생과의 전쟁이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에 이어 APEC 인구 구조 변화 대응 공동 체계(framework) 채택까지 연결되는 등 인구 위기를 글로벌 의제로 확산시켰다”며 “AI와 로봇 등 첨단기술과 돌봄을 결합한 스마트 돌봄은 인구 위기 대응과 도민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사업으로 경북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