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원도 1표, 당원도 1표”… 민주당, 1인 1표제 전면 추진
19~20일 전당원 투표로 당헌 개정… 권리당원 투표 비중 확대 예비·결선 경선 신설… 공천 전 과정에 당원·국민 참여 일각 “친명계 유리한 구조” 시선도… 정청래 “공천권 폐습 끊겠다”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제도 개편에 나선다.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비율을 없애고 모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당헌·당규를 고친다는 계획이다. 공천권을 일부가 독점하던 관행을 끊고, 당원이 주도하는 공천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취지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이 선거에서 1인 1표를 행사하듯, 당의 선거에서도 누구나 1인 1표를 행사해야 한다”며 “당원주권 시대를 열겠다는 전당대회 약속을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19~20일 전당원 투표를 통해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핵심은 당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없애고, 양측에 동등한 투표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정 대표는 “국회의원도 1표, 대의원도 1표, 당원도 1표여야 한다”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의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개정안에 대해 일각에서는 당원의 참여를 확대하는 명분 아래, 권리당원 기반이 탄탄한 특정 계파에 유리한 구조를 만드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로 정 대표는 강성 지지층의 뒷받침으로 대표에 오른 만큼, 이번 개편이 친명계 조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정 대표는 1인 1표제에 따른 우려에 대해 “한국노총이나 전략지역에 대한 배려는 표가 아닌 정책으로 충분히 고려하겠다”고 설명했다.
공천 방식도 전면 개편된다. 경선 후보가 4인 이상일 경우 권리당원 100%로 예비경선을 치르고, 본경선은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 50%가 참여하는 선호투표로 진행된다.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결선투표를 통해 최종 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정 대표는 “검증을 통과한 후보는 누구나 경선에 참여하게 하겠다”며 “소수 인사가 공천권을 좌우하던 폐습을 끊겠다”고 말했다. “억울한 컷오프에 눈물 흘리는 일도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비례대표 후보 순번도 당원 투표로 정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지금까지는 상무위원회가 후보 순위를 정해왔지만, 개정안이 통과되면 권리당원 100% 투표로 결정된다.
이처럼 공천 전반을 당원 손에 넘기는 구조에 대해 정치권 안팎에선, 민주적 절차를 강화하는 동시에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내 권력 지형을 재편하려는 포석이 깔린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정 대표는 “민주당의 진정한 주인은 국회의원이 아니라 당원”이라며 “이제는 국회의원이 당원의 눈치를 보는 시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