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일 경산시장, “경산~울산 간 직결 고속도로 연간 700억 절감” 총력전

김두겸 울산시장 만나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고시 공동 대응 뜻모아

2025-11-18     노진규 기자
▲ 조현일 경산시장(왼쪽)과 김두겸 울산시장이 ‘경산~울산 간 고속도로 건설’ 사업 확정을 위해 공동 대응을 논의하고 손을 맞잡고 있다. 경산시 제공

 
 
▲ 조현일 경산시장과 김두겸 울산시장이 ‘경산~울산 간 고속도로 건설’ 사업 확정을 위해 공동 대응을 논의하고 영남권 물류혁신 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경산시 제공

조현일 경산시장은 17일 김두겸 울산시장을 만나 ‘경산~울산 간 고속도로 건설’ 사업 확정을 위해 공동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경산~울산간 고속도로는 기존 경주시를 경유하는 경부고속도로 또는 밀양시를 경유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및 밀양울산고속도로를 이용해 우회하던 노선을 경산시와 울산광역시를 직결 노선으로 전환해 거리는 23㎞, 시간은 16분 단축할 수 있는 사업이다.

KOSIS(국가통계포털,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의 물류비는 매출액 기준 6.7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운송비는 57.9%로 총매출 대비 3.89%에 달한다.

경산시의 자동차부품 관련 기업(2023년 기준 2000여개 이상)의 총매출 5조8473억원에 적용하면 약 2274억원이 운송비로 지출되는 규모이다. 고속도로 건설 시 최소 31.5%의 운송 거리 단축 효과가 발생함에 따라 연간 약 716억원의 물류비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절감된 물류비가 기업 내 재투자 되면 생산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등 연쇄적인 경제 파급효과가 기대되며 이는 지역경제 전반에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경산과 울산의 접근성이 대폭 향상돼 자동차 산업뿐 아니라 울산의 주력산업인 조선·석유 분야 기업들도 경산에 더 쉽게 투자하고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울산시와 함께 대응해 본 사업이 확정되고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9월 국회에서 조지연 국회의원을 비롯한 김기현, 박성민, 서범수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경산-울산간 고속도로 신설 정책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정치권에서도 본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올해 말 발표 예정인 국토교통부의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6~2030)’ 고시 내용에 포함될 경우 사업이 공식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