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국방용 섬유 키운다, 국산소재 확대 논의
국산 섬유 우선구매·방위사업법 개정 필요성 집중, 업계 생존전략 모색
2025-11-18 김민규 기자
회의에는 위원장 김권기를 비롯해 패션·직물·니트 분야 중소기업 대표 22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전투복과 방탄복 등 피복류에 적용되는 고기능성 섬유 기술, 국산 소재 우선구매 제도화, 국방 기술 자립도 확보 방안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국산 섬유, ‘첨단전의 생존장비’로 재부각
박윤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현대전의 양상을 짚으며 국산 섬유 소재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했다. 그는 “현대전에서는 무기체계뿐 아니라 방탄복·전투복 같은 전력지원체계의 기술자립이 국가안보의 첫 단추”라고 설명했다. 또한 전투복 섬유가 ICT 융합 기술, 흡한속건 기능, 경량·쾌적성 강화 등 첨단 기능이 집약된 분야라며 “이 핵심 기술을 해외 의존에 두면 발전이 끊긴다. 국내 기업의 기술 기반을 국방 체계와 직접 연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행 방위사업법이 국산 군수품 우선구매를 선언적 문구로만 규정하고 있다며, 국산 소재 우선구매를 명확히 규정하는 개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방위사업법 개정 논의… “섬유업계, 법적 기반 절실”
김근호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는 「국산 섬유 소재 우선구매 법령안」을 발표했다. 그는 “현행 방위사업법에는 국산 소재 사용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며, 이번 개정안은 법·시행령에 위임규정을 신설하고 하위 훈령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국산 소재 사용을 제도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권기 섬유산업위원장은 “세계 수요 감소와 중국 저가 공세로 업계가 벼랑 끝에 서 있다”며 “공공 부문이 국산 소재 시장의 첫 구매자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안보 리스크가 커진 지금, 국방 분야에서 국산 섬유를 우선 활용하는 것은 산업 경쟁력과 국가안보를 동시에 강화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