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노력’ 내세운 유엔 기후총회…화석연료 빠진 채 합의문 채택
2035년 NDC 제출·적응 재원 3배 확대 등 ‘무치랑 결정문’ 채택 산유국 반발에 화석연료 표현 빠져…EU·도서국, 끝까지 반발 한국, 기후협력기구 이사직 연임…다자주의 복원 시도 평가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예정보다 하루 늦은 22일(현지시간) 오전 막을 내렸다.
각국은 화석연료 퇴출을 둘러싼 이견 속에서도 절충안을 마련해 합의문을 도출했지만, 끝내 화석연료 감축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포함되지 않았다.
의장국 브라질은 파리협정 10주년을 맞아 이행 가속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무치랑(Mutirao) 결정문' 채택을 주도했다. ‘무치랑’은 포르투갈어로 ‘공동 노력’을 뜻한다. 참가국들은 2주간 협상과 50시간 넘는 철야 논의 끝에 문안을 최종 채택했다.
합의문은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제출, 적응 재원 3배 확대,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 1.5도 이내 억제, 기후 정책과 무역 간 연계 등을 담았다. 브라질은 이를 전 지구적 적응목표, 정의로운 전환, 이행점검 등과 함께 ‘벨렝 정치 패키지’로 묶어 제안했고, 당사국들은 수용했다.
회의의 핵심 쟁점은 화석연료 감축의 명문화 여부였다. 지난해 COP28에서는 ‘전환’이 선언됐지만 실행 방안은 담기지 못했다.
올해도 브라질이 구체화를 시도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산유국 반대로 관련 표현은 빠졌다. 이에 유럽연합(EU)과 태평양 도서국이 반발했지만 마지막 날 절충안이 받아들여졌다.
적응목표 측정 지표와 재원 방식에 대한 이견도 컸다. 선진국은 지표 일괄 채택과 전체 재원 흐름 반영을, 개도국은 개선 유예와 공공 재원 중심 측정을 주장했다. 결국 지표는 59개로 압축돼 ‘벨렝 적응 지표’로 채택됐고, 기후재원 작업프로그램도 수립됐다.
무역 관련 기후조치 논의에서는 WTO와 UNFCCC 관할을 두고 이견이 있었고, 결국 내년 부속기구회의(SB64)에서 ‘대응조치’ 의제로 다뤄지게 됐다.
화석연료 언급이 빠진 합의문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석유 생산국의 승리"라 평가했고, 파나마와 시에라리온 대표는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일부 섬나라들은 “기대에는 못 미쳤지만 기쁘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후활동가 재스퍼 인벤터는 “이제는 실망만 남는 자리”라고 평가했다.
브라질 정부는 이번 합의와 별개로 자국 차원의 화석연료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과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를 중심으로 대표단을 파견했다. 한국은 재정상설기구(SCF) 이사직을 연임하고, 파리협정 제6.4조 감독기구 위원직도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