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의, 2025년도 하반기 경제동향보고회 개최
2025-11-25 최연청 기자
| ▲ 대구상의에서 열린 2025년도 하반기 경제동향보고회 장면.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
25일 대구상의에 따르면 이날 보고회에는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 민주원 대구지방국세청장, 윤경자 대구지방조달청장, 김현철 대구지방공정거래사무소장, 박양호 대구정책연구원장, 김주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장을 비롯한 기업지원 기관장과 협회·조합단체장, 기업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해 하반기 경제동향을 살펴보고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박윤경 회장은 인사문에서“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역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변화와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며“AI·디지털 전환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주 경제부시장은“올해 힘든 경제 상황에서도 상공인, 금융 및 기업 지원 기관장님들의 노고로 대구 주요 경제지표가 점차 나아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대구시는 현장 소통에 힘쓰며 지역 기업들의 경제 활동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동향보고에 따르면 대구의 7~9월 평균 제조업 생산은 전자부품(37.0%)과 화학제품(22.4%), 의료정밀광학기기(13.0%) 등의 생산 확대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수주액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1~9월 누계는 2조6616억원으로 전년동기(1조3913억원) 대비 9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3년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3분의2 수준에 머물러 완전한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대구상의에서 지역 기업 44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경영 실적 및 내년도 전망' 조사(응답 249개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5.9%가 올해 계획한 사업 실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답했다. 반면 사업 실적을 달성할 것이라는 의견은 17.7%에 그쳤고 초과 달성을 예상은 6.4%에 불과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미달성’ 응답이 82.7%에 달해 건설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기업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는‘대기업 및 공공기관 유치’가 49.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미래전략산업 육성(37.3%)’과‘지역 청년 정착 유도 및 고급인력 유입 확대(33.3%)’, ‘지역 산업 디지털 전환 및 AI·데이터기반 기술혁신 지원(22.5%)’,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기 건설(21.7%)’ 순으로 나타났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중소기업의 AX·DX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AX·DX 종합지원 창구’ 구축 필요성과 기업의 인력 확보 부담 완화를 위한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등에 대한 의견도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