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급발진 예방효과 탁월
고령운전자 비율은 서울·부산·대구·인천 순
2025-11-25 강병찬 기자
-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로 사고 차단…730명에 2차 보급사업
고령 운전자 141명의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분석한 결과 3개월간 70회가 넘는 페달 오조작 의심 사례가 확인됐다.
또 지역별로는 서울, 부산, 대구 순으로 대도시 고령운전자의 사고 유발이 많아 대도시 운전환경 개선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고령층의 페달 오조작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13일 4명이 숨지고 18명이 다친 부천 제일시장 트럭 돌진 사고도 67세 시장 상인 A씨가 페달 오조작을 한 것으로 경찰은 파악했다.
인천에서도 지난 17일 70대 남성 B씨가 승용차를 몰다가 인도로 돌진해 30대 여성과 2살 딸이 크게 다치는 사고가 났다. 역시 페달 오조작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현재 지역별 고령 운전자 비율은 △서울 14.9%(고령 운전자 93만3889명) △부산 16.6%(33만8134명) △대구 15.4%(23만7371명) △인천 13.0%(26만3491명) △광주 12.8%(12만2485명) △대전 13.5%(13만1660명) △울산 13.6%(10만5298명)이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이 비율도 매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경찰청에 따르면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고령 운전자 141명에게 지원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분석했다.
비정상적 가속으로 인한 페달 오조작 의심 건수는 71회로 집계됐다. 시속 15km 이하 주행 중 가속 페달을 80% 이상 밟거나, 주행 중 급가속으로 4천500rpm(분당 엔진 회전수)에 도달할 경우 오조작 의심 사례에 포함됐다.
그러나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작동해 불상사는 전부 원천 차단됐다. 이 장치는 정차 또는 저속 주행 중 급가속 조작이 발생하면 페달을 제어한다.
운전자들은 경찰청, 손해보험협회, 교통안전공단이 추진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1차 지원 대상자였다.
예방 효과를 확인한 경찰청 등은 오는 12월 1일부터 서울 등 7개 광역시 고령 운전자 730명을 대상으로 2차 보급사업 대상자 모집에 나설 계획이다.
지원자는 신청서와 운전면허증, 차량등록증 등 구비 서류를 12월 19일까지 거주지 인근 교통안전공단 지역본부에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제출해야 한다.
신청서는 공단 누리집, 가까운 경찰서나 공단 지역본부 등에서 받을 수 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9년부터 승용차와 소형 화물차 신차에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장착을 의무화한다고 밝혔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이번 사업을 통해 급가속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을 높이고, 고령자 교통안전 확보 정책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정용식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이번 첨단안전장치 지원 확대 사업을 적극 시행하고, 의무 도입 등도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