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휴전선 인근서 방사포 100여발 동해상으로 발사
사격 지점은 금강산 구선봉 뒤…휴전선 코앞합참 관계자 "북한, 동해안 MDL 인근 사격 드물다"軍 "무력시위성 사격으로 분석...김정은 참관 추정"
북한군이 14일 오전 동해상으로 방사포 100여발을 연달아 발사했다. 발사 지점은 강원도 고성 군사분계선(MDL) 인근으로 북방한계선(NLL)에서 불과 수백 미터 거리로 파악돼 군 당국도 이례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북한군이 오늘 오전 11시43분부터 오후 12시 15분까지 동해상으로 방사포와 해안포 100여발을 발사했다"며 "사격 실시 지역은 금강산 구선봉 뒤 포 진지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발사한 포탄은 모두 NLL 북쪽 1~8km 해상에 떨어졌다"며 "NLL이남으로 떨어진 것은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합참은 발사된 포탄의 사거리가 3~50km인 것을 볼 때 해당 지역에 편제된 240㎜·122㎜ 방사포, 76.2㎜ 해안포를 발사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군이 동해안 MDL 바로 북쪽에서 포를 사격한 것은 이례적이다.
군 관계자도 "북한군이 동해안 MDL 인근에서 사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말했다.
다만 관계자는 "NLL인접사격의 경우는 드물지만 동해안 지역에서 방사포 사격은 여러차례 있어왔다"며 "최근(2일)에도 NLL북방 1km 지점에서 방사포가 발사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전방 지역의 감시 및 경계태세를 강화한 가운데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이날 사격은 전날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함께 대남 무력시위 일환으로 풀이된다.
관계자는 북한의 사격 의도에 대해 "불시 사격을 통해 무력시위성 사격을 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김정은이 발사에 참관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6월 26일 동해상에 로켓을 발사, 3개월만에 도발을 재개한 북한은 지난 보름새 5회에 걸쳐 총 11발의 발사체를 동해상으로 쏘아올렸다.
이 가운데 6월 29일과 9일, 13일 발사는 사거리 500km인 스커드-C 미사일로 보이며 6월 26일과 2일 것은 최근 성능을 개량한 300mm 대구경 방사포로 추정된다.
특히 13일 미사일 발사 지점은 MDL에서 불과 20km 떨어진 지점으로 북한이 과거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지점 가운데 최남단이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