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신규 채무불이행자 39만7천명…신용회복률, 제2금융권·신용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경우 낮아

장기연체자 절반 이상이 신용회복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 가능성이 낮아져, 3년이 지나면 사실상 가망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은 채무불이행자 신용회복 과정을 추적한 결과를 '금융안정상황' 자료에 21일 처음으로 공개했다.

한은이 2014년 새로 채무불이행자가 된 39만7천명을 추적한 결과 올해 6월 말 현재 19만4천명(48.7%)만이 신용을 회복했다.

신용회복에 성공한 채무불이행자 중 13만3천명(68.4%)은 스스로 혹은 주변 도움 등으로 빚을 갚은 반면 3만9천명(20.1%)은 자력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정부의 채무조정제도 등 지원을 받았다. 나머지 2만2천명(11.5%)은 신용회복 방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채무불이행자 대비 신용회복자 비율인 신용회복률이 채무불이행 발생 후 1년 이내는 29.5%에 달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신용회복률이 급격히 하락해서 1∼2년은 10.6%, 2∼3년은 7.5%로 낮아지고 3년 이상은 1.1%에 불과하다. 신용회복자 중 60.5%가 1년 이내 채무불이행 딱지를 떼는 데 성공했다. 1∼2년은 21.8%, 2∼3년은 15.4%, 3년 이상은 2.3%에 그쳤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 대출 차주 신용회복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들은 자력으로 신용회복에 성공한 비율도 낮았다. 저축은행과 신용카드, 대부업, 할부·리스 등 대출을 보유한 차주의 신용회복률은 41.9%이다. 반면 이들 기관 대출이 없고 은행 등에서만 돈을 빌린 차주는 71.4%에 달했다.

금융권별 신용회복률은 저축은행(35.6%), 신용카드(36.8%), 대부업(37.9%), 할부·리스(39.8%)에 비해 은행(43.8%), 상호금융(57.7%)이 높았으며, 대출 종류별로 신용대출 차주는 42.1%만 신용회복을 했는데 담보대출은 회복률이 77.1%에 달했다.

다중채무자 신용회복률은 34.9%로 비다중채무자(63.0%)와 큰 차이가 났다. 다중채무자 부채 규모가 1인당 평균 9천671만원으로 비다중채무자(5천218만원) 보다 훨씬 크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이 100% 이상인 차주는 신용회복률이 42.5%에 불과하지만 25% 미만인 차주는 62.8%에 달한다.

또 임금근로자는 50.2%가 신용회복했지만 자영업자는 40.8%에 그쳤으며, 학생과 주부 등 기타 차주는 63.8%가 신용회복을 했다. 이들은 부채 규모가 작고 채무조정제도 지원도 많다.

채무불이행자 가운데 3.6%는 신용회복 후에 다시 채무불이행자로 전락했다. 6월 말 현재 채무불이행자는 모두 104만1천명으로 전체 가계차주(1천865만6천명)의 5.6%다. 90일 이상 장기연체 차주는 70만1천명, 채무구제 중인 차주는 34만명이다.

채무불이행자는 2013년 101만9천명에서 2015년 105만9천명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104만1천명으로 감소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변동이 없다.

채무불이행자 보유 부채는 29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1천388조3천억원)의 2.1%다. 90일 이상 연체 차주는 21조9천억원, 채무구제 차주는 7조8천억원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