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은 한국지역경제연구원장

복잡한 전깃줄과 전신주.
거리를 지나면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광경이다.
골목 골목 빈틈없이 주차된 차량들은 도로와 주차장을 분간할 수 없게 한다.
공원다운 공원 하나 없고, 조경다운 조경시설 하나 없다.

하늘을 찌르는 아파트 단지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고, 지진 후 필로티 원룸 세대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작은 숲, 쌈지공원 하나 없는 회색빛 정주여건은 도시의 공기를 혼탁하게 한다.
도시가 주민을 안온하게 감싸주기는 커녕 오히려 혼잡하게 한다.

총리가 포항을 다녀간 후 도시재생과 포항의 신도시 양덕-문덕을 연상해 본다.
20세기의 신도시. 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에 건설한 지곡이라는 샘플도시가 바로 지척임에도 불구하고 21세기의 양덕-문덕이 왜 이 모양인가 말이다.
이제 우리 포항시가 당면한 도시재건도 과거사를 되풀이해선 안된다.
도시재생의 범위는 기대 이하로 축약된 규모란 것을 알아야 한다.
포항지진 후 폐허가 된 흥해지역 등은 도시재생의 개념을 넘어 도시를 재건할 ‘스마트 시티’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스마트 시티’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다양한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도시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곧 스마트 시티의 건설 목적이다.
거꾸로 말하면 도시의 유지비용을 줄이는 것도 한 목적이다.
지능형 주차장, 지하철 무인운전, 재난방지 시스템과 같은 기술을 활용해 도시의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신호처럼 다른 도시 시설과 결합하는 것으로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도시를 하나의 거대한 ICT(정보통신기술)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에너지·교통·의료·교육 등의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시민들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스마트 시티는 어느 한 부처에서 주도할 수도 없다.
스마트 건물, 스마트 폰, 스마트 하수처리, 스마트 교통시스템 등 모두를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 시티는 전 부처 간에 유기적인 협조가 절실하고 융·복합이 핵심이다.

스마트 시티는 거버넌스(governance)까지 아우른다.
기반시설은 물론 인간의 경제, 사회, 문화, 환경시스템 그리고 이 모두를 관장하기 때문이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원활히 흐르게 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스마트 시티의 특징이다.

도시의 상세 지도와 도로를 데이터화하고 청소 로봇에 센서를 달아 도로를 다니면서 먼지를 쓸고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로의 손상 정도, 공기의 질, 해당 골목의 다니는 사람의 숫자와 움직임, 쓰레기통의 위치, 주차된 차량, 부서진 가로등과 안내판, 건물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 등 당양한 영역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양산되고 또 그것을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도시법에는 도시재생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도시재생 사업에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교통, 쓰레기 수거, 방범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면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결론적으로 포항은 도시재생 사업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스마트도시법에 의해 스마트 도시를 구상해야 한다.
좀 더 큰 그림 즉, 양덕과 흥해를 연결하고 KTX 역사를 바로 잡아 통합환승센터도 건설해야 한다.

스마트 도시 프로젝트는 민관 협력형태로 접근할 수 있다.
포스텍, 로봇융합연구소 등 민간부분과 협력하여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지자체 공직자들은 전문 행정가로서 선제적 행정을 해 나가야 한다.
사상 유례없는 지진피해를 낸 포항에서 지금 필요한 것이 바로 선제적 행정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