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족상잔의 비극이 발생한지 올해로 68주년을 맞는다. 300만 명 이상의 전·사상자를 낸 뼈아픈 민족의 비극은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얼마전 안행부의 여론조사결과 우리나라 청소년 절반이 6·25전쟁 발발년도를 여전히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성인의 44.3%는 ‘알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청소년은 13.9%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과 청소년의 인지 수준이 큰 차이를 보였다.

남한은 역대 정권마다 북측에 대해 나름대로 꾸준히 화해의 정책을 폈지만, 이러한 우리 정부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북한에서는 여전히 무관심으로 일관하며 대화를 거부해왔다. 남북한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68년 간이나 헤어져 지낸 4백만 명의 이산가족이 있다.

전쟁으로 헤어진 이산가족은 자신의 혈육인 부모형제, 친척의 생사조차도 알지 못한 채 통일이 되기만을 학수고대하며 살아가고 있다.

최근 미국 주요 신문과 방송은 거의 매일같이 한반도 이슈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2017년에는 핵·미사일 실험 등 북한의 연쇄 도발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톱뉴스로 등장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김 위원장이 신년사를 계기로 대화의 장으로 성큼 걸어 나오자 미국 언론은 남북 대화 및 북·미 협상을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관계가 급속도로 대화 모드로 들어서면서 남북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리고 남북 화해 분위기가 한반도 위기에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로 국제사회를 위협했기 때문에 불거진 것이다. 그런 가정에서 출발한다면 남북관계 개선이 한반도 위기를 풀 수 있는 해법이 되기는 상당히 힘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박 전 정부 시절 남북한 이산가족상봉 문제가 언급되다가 사라졌다. 우리나라의 분단은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어 있다. 한동안 이루어지던 금강산 관광이나 북한 이산가족 상봉, 북한의 경제특구에 공장건립 등과 같은 정책이 모두 중단상태에 있다.

이제는 민족끼리의 비극적인 전쟁이 이 땅에서 두 번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 남북한의 이념 차이는 쉽게 극복될 성질은 아니지만 사회주의의 대표적 국가인 러시아와 중국에서도 이미 자본주의 체제를 인정하고, 자국민의 이익을 위해서 바뀌고 있는 현실이므로 통일도 그다지 어렵지 않다고 생각된다.

서독과 동독이 통합된 지도 벌써 30여 년 가까이 되었다. 동서독의 분단 이후 1989년 통일될 때까지 동서독인의 통일을 위한 노력은 남북한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남북한이 통일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동서독의 통일 전 수준까지 남북관계를 지체 없이 고양시켜야 한다.

이 시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일의 가장 기본은 통일을 하겠다는 국민들의 절실한 마음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