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회의장단 선출·상임위 배분 놓고 격돌 예고

여야가 6.13지방선거 지원유세에 당력을 집중하면서 ‘개점휴업’ 상태에 놓였던 6월 임시국회의 재가동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의 압승으로 원내 1당 지위를 더욱 확고히 했으나 여소야대(與小野大) 지형은 유지돼 원 구성 협상에서 여야 간 치열한 기 싸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0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선출, 상임위원회 구성 등 원 구성 협상은 여야에 던져진 시급한 과제다.

지난달 29일 국회의장단, 상임위원장, 상임위원의 임기가 끝나면서 국회 지도부 공백 상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은 물론 상임위 구성도 다시해야 한다.

국회의장 선출을 둘러싼 여야 간 이견에 그동안 원 구성 협상은 한 차례도 갖지 못했다.

원내 2당인 자유한국당이 12곳의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결과에 의석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며 협상 시점을 지방선거 이후로 제시했던 까닭이다.

13일 재보궐 선거가 끝난 만큼 의장 선출을 포함해 원 구성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지만 국회의장단 선출과 상임위원회 구성 등을 놓고 여야 5당의 셈법이 달라 협상에 착수해도 합의 도출에는 부정적이다.

민주당은 국회의원 재보선 승리로 원 구성 협상의 주도권을 내세워 ‘국회의장 사수’에 나설 태세다.

재보선 승리 결과 한국당보다 몸집을 더 불린 민주당은 원내 1당이 의장을 맡는다는 관행을 지켜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울 수 밖에 없지만, 야당은 ‘다수당이 의장을 자동으로 맡으라는 법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당은 국회 운영위원장과 법사위원장 '동시 사수'를 목표로 내걸었다.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도 국회부의장, 상임위원장 자리 등을 놓고 양보 없는 원(院) 구성 협상에 나설 태세를 갖췄다.

그러나 이번 지방 선거가 여당인 민주당의 압승로 끝나면서 ‘야권발(發) 정계개편’이 거론되는 점은 원 구성 협상의 변수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사퇴를 시사하고 바른미래당 역시 거센 후폭풍에 직면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원 구성 논의는 뒤로 밀릴 수밖에 없을 것이란 지적이 벌써부터 정치권에서 나온다.

정계개편 소용돌이 속에 원 구성 협상이 지연되면 6월 국회가 ‘빈손’으로 끝나는 것은 물론이고 정기국회까지 장기 공백 상태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까지 제기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