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용 문화기획팀장·우지강(宇治河)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시인이란 슬픈 천명인 줄 알면서도 / 한 줄 시를 적어볼까.” (윤동주 ‘쉽게 쓰여진 시’ 中)

이 작품은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씌어졌다. ‘육첩방은 남의 나라’라는 구절에서 그가 처해 있는 상황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익숙하지 않은 일본식의 생활공간인 동시에 다다미 여섯 장의 넓이로 그의 세계를 한정하는 구속, 부자유의 은유이다. 그는 이러한 공간 안에 갇혀 있으면서 시를 쓴다. ‘시인이란 슬픈 천명’이란 시인이 현실을 직접 움직이는 자가 아니라 언어를 다루는 사람이라는 데 대한 괴로움에 연유한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 시는 '부끄러움'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부끄러움은 학문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乖離感), 시를 쓰는 자신과 시 사이의 거리감(距離感) 등에서 오는 것이다. 시적 화자는 소외 의식과 내적 갈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그는 부끄러워하지만 결코 절망하지는 않는다.

유학길에 오른 윤동주는 1943년 7월 첫 학기를 마치고 귀향길에 오르기 직전 사상범으로 체포당한다. 1944년 '독립운동'의 죄목으로 2년형을 언도받아 큐슈의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된다.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던( ‘쉽게 쓰여진 시’ 中)윤동주는 그토록 열망하던 광복을 눈앞에 둔 1945년 2월 16일, 29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 PD 출신인 일본인 다고 기치로(62·多胡吉郞)씨는 30년 넘게 윤동주를 취재해 왔다. 현존하는 윤동주 최후의 사진으로 알려진 사진을 발굴하기도 했다.

그는 “윤동주는 부끄럼을 잘 타는 성격이라 조선에서 찍은 사진에는 늘 가장자리에 있다. 이 사진에선 앞줄 가운데에 있다"며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결심을 한 윤동주를 위해 일본 친구들이 송별회를 해줬고, 친구들이 주인공을 윤동주를 가운데에 서라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교토(京都) 우지(宇治)시의 우지강(宇治川) 아마가세쓰리바시(天ヶ瀨吊り橋)에서 일본인 친구들과 함께 찍은 사진이 윤동주 시인의 최후의 사진이 됐다. 우지하시(宇治橋·우지 다리)를 건너기 전, 우지강에 얽힌 가슴 아픈 역사와 마주하니 괜스레 마음이 경건해졌다.

우지하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로 646년 고구려에서 건너간 도등 스님에 의해 건설됐다고 한다. 전쟁과 홍수, 지진 등으로 수 차례 파괴됐지만 그때마다 다시 지었다. 현재의 다리는 1996년에 지은 것이다.

우지하시 입구에는 무라사키시키부(紫式部)의 조각상과 유메노우키하시(夢浮橋)의 유적지 비석이 있다. 유메노우키하시는 소설 속의 다리로, 실재했던 다리는 아니다.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는 헤이안시대에 무라사키시키부(紫式部)가 지은 장편 연애소설이다. 당시 여자들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무라사키시키부'도 지은이의 이름이 아니다. 여주인공 중 한 명인 '무라사키노우에(紫の上)'의 이름에 궁녀의 직위명인 '시키부'를 붙인, '무라사키라 불리운 궁녀' 의 이름이다.

작품은 왕의 후궁의 아들인 주인공 겐지와 여러 여자들과의 사랑 이야기이다. 전체를 54첩(帖)으로 나누는데 그 중 45첩 하시히메(橋姬)부터 마지막 54첩 유메노우키하시(夢浮橋)까지 10첩(十帖·쥬죠)이 우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강가에서 사랑을 속삭이고, 사랑의 갈등에 몸을 던지는 등 소설 속 장면이 강물과 함께 흘러간다. 시간은 물살과 함께 빠르게 떠내려 가지만 역사는 여전히 그 자리에 남아 우리의 가슴을 휘젓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