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부중 경북동부본부장
최근 우리나라 수산업 종사자 수는 약 104만명으로 국가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어촌의 새로운 국민 관광 여가공간으로 대두되고 있어 수산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 산업 등 인프라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이 수산자원·어가인구 감소와 날이갈수록 어촌고령화는 수산업 성장의 한계로 수산물 생산·유통 구조 등 혁신을 통해 어촌소득을 증대하고 새로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2월 13일 수산업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수산혁신2030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어업구조 개편, 규모·스마트화, 어촌·어항 현대화, 직거래 활성화 등 2030년까지 수산업 전체 매출액을 10조원, 어가소득을 연 8천만원으로 끌어올리고 4만개의 일자리를 수산분야에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구나 각 자치단체별로 어가소득 증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시는 어촌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에 필요한 융자금(연 2%대, 최대 3억원)과 전문어업 경영인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충남도는 우수한 해양수산 기술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 육성을 위해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과 신제품 제작, 연구개발 지원, 제품 디자인 및 판매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어업전반에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 수산경영인 등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문교육기관 등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수산업의 소득 증대 등 지속적인 발전을 모모하기 위해서는 6차 산업화의 적극적인 추진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부의 수산가공산업 육성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하드웨어에 대한 지원과 함께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

기존 수산가공산업 발전 정책의 내용은 수출 확대를 위한 지원과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등 소트프웨어 지원에 대한 내용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시설투자, 전문단지 건설 등 하드웨어 지원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수산가공식품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강화하려는 정책의 내용은 클러스터 조성, 수산물 산지 거점유통센터(FPC) 활용, 소비자 분산물류센터 건립 등 시설 투자에 집중돼 있으며, 수산물 가공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시설투자도 중요하지만 이미 건립된 시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소트트웨어 지원도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클러스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를 운영할 것인지, 새로 구축된 시설들을 국가가 전체적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수산물 가공산업 육성이 어촌 활성화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추진하고, 일부 대기업과 부산, 인천 등 대형 항구도시와 경기도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산물 가공기업을 제외하면 대부분 수산물 가공기업들은 어촌지역들은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어촌지역은 우리나라 수산물 가공산업의 원료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산물 가공산업의 발전이 어촌지역의 발전과 연계하지 못한다면 수산물 가공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수산물 가공산업의 발전을 통해 어촌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