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100여 곳 3,400명 후보등록 평균경쟁률 2,6대1… 억대연봉 누가될까 조합원들 관심 집중

막강한 권한을 가진 제왕적 권력수준인 전국 동시조합장 선거가 13일 있었다.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는 지난 2015년 부터 시작된후 올해 2회째 맞고 있다.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는 농협과 축협 1100여 곳, 수협 90곳, 산림조합 140곳 등 모두 1,344개 조합의 대표자를 선출하며 이번 선거에 등록한 후보자는 3천400여 명으로, 평균 2.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조합별로는 농·축협 조합장 경쟁률이 2.6대 1, 수협이 2.5대 1, 산림조합이 2.3대 1을 나타냈으며, 선거권자는 225만명에 달한다

이처럼 많은 조합장을 뽑아야 되는 선거지만 현직이 훨씬 유리한 선거제도라는 비판아래 선거 결과 대부분 현직이 될 가능성이 커져 앞으로 선거 후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동시조합장 선거는 당초 취지와 달리 억대 연봉과 재정, 인사권 등을 거머 쥔 조합장은 풀뿌리 민주주의에 따른 협동조합 설립취지에서 벗어나 점점 관료화, 수직화로 조합원 소통이 단절되고 지배구조가 형성돼 왔다.

이에 따라 선거제도 개선과 함께 차후에는 지역 농·축협부터 개혁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개혁 주장의 필요성은 막강한 조합장의 권한이 농촌고령화 등과 맞물려 농협의 폐쇄성을 조장한다는 판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도적 정비로 ▲조합원 주인의식 교육 ▲인위적 무자격 조합원 정리 ▲청년조합원 유입 등 선거 때마다 불거지는 무자격 조합원 논란도 일어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일본 협동조합 사례를 벤치마킹해 청년농의 경영참여 할당제를 적용하는 등 무자격조합원의 빈자리를 젊은 피 수혈로 채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미 A농협의 한 조합장은 “조합장이 지역 농·축협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폐쇄성을 타파하고 생산, 판매, 조합장 선출 등 곳곳에 조합원의 손길과 눈길이 닿도록 조합원 교육을 통한 주인의식 회복과 무자격 조합원에 대해 방만 경영은 선거타락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농촌 고령화로 인해 줄어드는 조합 규모를 인위적으로 유지시키는 허수 방지로 무자격 조합원 정리와 동시에 청년조합원 유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조합장 제도 자체를 손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는 동시 조합장 선거 특성상 깜깜이 선거를 통한 돈 선거가 계속되는 까닭은 많은 돈을 써도 당선만 되면 억대 연봉으로 만회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며 당선 후도 조합장들께 막강한 권한을 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B 농협 한 전직 조합장도 “조합장은 상근직이 아닌 비상근 명예직화해서 조합장 소환제와 노동이사제 등을 도입한다”면 “조합장이 돈벌이나 권력 상승 수단이 아니라 진정한 조합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리로 거듭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