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손을 맞잡고 올 1월 첫발을 내디딘 '광주형 일자리'는 독특한 일자리 사업 모델이다. 지자체가 대주주, 민간기업이 2대 주주로 공장을 세우고,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을 낮추는 대신 일자리를 최대한 늘린다. 정부·지자체는 근로자의 주거·복지 등을 최대한 지원해 줄어든 임금을 보전한다.
이런 광주형 일자리의 '2편'이 ‘구미형 일자리’다. ‘구미형 일자리’는 광주형처럼 근로자 임금 수준을 낮추는 방식이 아닌 ‘투자촉진형’으로 추진된다. 투자촉진형은 임금은 그대로 두고 기업이 투자하면 노·사·민·정 협약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가 복지·주거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 산단부지 임대조건 조정과 세금 할인 혜택 등 인센티브도 제공된다. 때문에 광주형보다 진일보한 모델로 평가된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 중심의 ‘구미형 일자리’를 두고 최근 말들이 많다. 민주당 김현권 의원(구미을지역위원장)은 방위산업도 포함하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구미지역에 LIG넥스원, 한화, 한화시스템 등 국내 방위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기업 3곳을 비롯해 방위산업과 관련한 중소기업들이 100여 곳에 달한다”면서 “구미가 방위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갖췄다”고 주장했다. 또한 구미경실련은 중저임금을 보완할 수 있는 워라밸 형태의 근로조건을 제안했다. 4조2교대는 4개조로 편성해 2개조는 주·야간으로 나눠 12시간씩 2일 주ㆍ야간 근무를 한 뒤 4일을 쉬어 기존 4조3교대와 비교 시 하루 근무시간이 8시간에서 12시간으로 늘어나지만 연간 총 근로시간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연간 휴무일은 80일 이상 많아진다며 4조2교대를 ‘구미형 일자리’의 근로형태로 채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충북도가 용인SK처럼 배터리 클러스터 운운하며 정부의 상생형 일자리 유치전에 뛰어들 경우 ‘구미형 일자리’에 난관도 예상된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충북도는 오창공장에 4천600명의 직원이 전기차 배터리를 포함한 각종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는데 ‘구미형 일자리’로 인해 일거리가 뺏길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말과 각종 우려는 ‘구미형 일자리’가 잘되길 바라는 염원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정부가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방해가 될 수도 있다. 자칫하면 사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구미시는 대구·경북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출신 장세용 시장이 이끌고 있다. 장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경제를 살려야 한다며 정부에 '상생형 일자리' 사업 추진을 끈질기게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장 시장과 마찬가지로 노력해 왔다. 주변의 조언과 우려도 좋지만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구미형 일자리’성공을 위해 지켜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