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10만…전국 세번째 규모 행정통합 찬성 의견 절반 넘어 권영진 “단일경제권 보유해야” 이철우 “세계무대서 경쟁 가능”

▲ 지난 6월 (사)대구경북학회‘대구경북의 큰 통합과 국가균형발전’심포지엄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권영진 대구시장.

   
▲ 행정통합 연구단 및 추진체계

대구·경북 행정 분리의 역사가 2021년이면 40년이다.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로 승격하면서 분리됐다. 그 전까지는 경상북도 대구시였다.

대구직할시 승격 당시 달성군은 여전히 경상북도 달성군이었고, 달성군이 대구에 편입된 것은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칭된 1995년 1월 1일이었다.

대구광역시가 되고 1년 뒤인 1996년 대구 인구는 250만명을 돌파했다. 이어 3년 뒤인 1998년에는 대구 도시철도(지하철) 1호선 및 신천대로 전구간이 개통(1호선 첫 개통은 1997년 말)했다. 당시를 대구의 '전성기'라고 부를만한 사건이 여럿 이어졌다.

그러나 대구 인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감소세로 바뀌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도시 인구 3위 자리를 인천에 넘겨 주기도 했다. 결국 대구 인구는 250만명대가 깨졌다.

2020년 8월 행정안전부 자료 기준 대구 인구는 242만 8천228명이고, 경북 인구는 264만 932명이다. 합치면 506만9천160명이다. '300만 경북도'의 명성도 인구가 격감하면서 색을 바래고 있다.

1981년 독자 생존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행정을 분리했지만 2000년대 이후 일자리와 인구 감소세가 지속돼 경쟁력이 저하됐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설상가상의 난관에 봉착, 행정통합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자는 공감대가 나온다.

지난 4월 대구경북연구원이 대구·경북 지역민 2000명을 대상으로 행정통합에 대한 견해를 물은 결과 51.3%가 찬성 의견을 밝혔다. 반대 의견(22.4%)보다 배 이상 많았다.

찬성 이유는 ‘수도권에 맞서는 지방정부를 창설해 국가균형발전 도모’(38%),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32%) 등을 꼽았다. 반대 이유로는 ‘통합에 따른 성과가 그리 크지 않을 것’(27.1%), ‘현재 생활에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20.8%) 등이 많았다.

TK 기초단체장 71%도 통합에 찬성했다.

영남일보가 지난 8일자로 공표한 31명 기초장 대상 설문조사 결과 찬성 22, 반대 2,판단유보 7명이었다.
경북은 반대와 판단유보가 7명인데 반해 대구는 반대가 없는 대신 판단유보가 2명에 불과해 통합에 대구시 기초장들이 더 적극적이었다.“대구·경북이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500만 인구의 단일 행정과 단일 경제권을 갖춰야 한다"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입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대구·경북이 뭉치면 공항과 항만을 갖춘 도시로 재탄생한다. 또 인구 510만 명에 지역내총생산(GRDP) 165조원에 달하는 경제권이 이뤄지는데 이는 경기(1324만명, 473조원)와 서울(973만명, 422조원) 다음으로 큰 규모다. 이 정도 규모면 도시에 자족 기능을 갖추면서 세계 무대에서 직접 경쟁할 체급”이라고 말했다.
조영준·권정민 기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