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실크로드중앙아시아연구원은 경북도 지원으로 지난해 위대한 유산 페르시아에 이어 올해 ‘위대한 유산 아나톨리아’를 발간했다.

이나톨리아는 오늘날 터키 영토에 해당하는 반도로 북쪽은 흑해, 북동쪽은 캅카스, 남동쪽은 이란 고원, 남쪽은 지중해, 서쪽은 에게해로 둘러 쌓여있다.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수많은 문화적 교류와 충돌의 장(場)이 된 이곳은 인류 문명의 터전이었다.

아카드, 아시리아, 히타이트, 아르메니아, 로마의 고대 문명들이 중층(重層)을 이뤄 켜켜이 쌓여있으며 그 위에 다시 셀주크 투르크, 오스만 투르크의 문명이 얹혀있는 모양새다.

투르크인들의 기나긴 이주 과정은 중앙아시아에서 비롯돼 한국의 고대사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들은 아시아 대륙의 동북부 초원 지대에서 기원전 2천년경부터 활동해오면서 철과 말을 기본으로 한 수준 높은 스텝 문화를 이룩했다.

또 수나 오르도스 초원 지대로 이동해 이 일대에 스텝 투르크의 요소가 강한 새로운 양사오 (Yangshao) 문화를 싹틔웠다.

이들이 바로 흉노족의 직접적인 조상이 됐고, 고조선과 접촉을 꾀했으며 그들은 흉노를 이어 돌궐과 위구르 시대로 이어졌다.

투르크족의 대이동으로 그들은 우리와 9000km나 떨어져 살면서 아시아의 동쪽 끝과 서쪽 끝에서 서로 다른 문화와 역사를 이어 갔다.

1950년 한국전쟁을 계기로 다시 만났으며 이는 터키가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것이다.

중국 수나라의 침략을 막기 위해 고구려와 돌궐이 손을 잡고, 그 후 당나라를 대상으로 발해와 돌궐이 군사협정을 맺은 지 천년만에 한반도에서 다시 군사적 협력이 이뤄졌다.

위대한 유산 아나톨리아는 서양미술사의 김경미, 기독교윤리학의 이인경, 그리스로마사의 배은숙, 독문학과 비교문학의 전문가 홍순희가 공동집필했다.

대부분의 사진들은 박창모 작가가 현지에서 직접 찍은 것이다. 여러 저자들이 힘을 모은 것은 분량의 방대함 때문이라기보다 아나톨리아 문명 자체의 역사성이 가진 학문적 무게 때문이다고 전했다.

특히 1만년 전에 이미 인류의 문명이 시작됐다는 증거로 아직 진행 중인 고고학적 발굴작업을 비롯한 신화의 세계를 역사 현실의 세계로 불러내는 작업까지 포함하고 있다.

계명대 실크로드 중앙아시아연구원장을 맡고 있는 김중순 교수는 "시각자료든, 학술적 자료든 이 책만큼 방대한 볼거리와 읽을거리를 제공한 사례는 일찍이 없었기 때문에 전문 학자들과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