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서쪽 체성끝에서 바라본 성안 전경

 

   
▲ 동쪽 성벽을 밖에서 본 모습

 

   
▲ 동쪽 체성끝에서 바라본 읍성안 전경

 

   
▲ 민가 담장처럼 보이는 동쪽 성벽

 

   
▲ 북서쪽 체성을 밖에서 본 전경

 

   
▲ 서문 터 추정지

 

   
▲ 읍성 안 건물 터 축대

 

   
▲ 체성 옹성처럼 보이는 시설

 

   
▲ 평해 성황당

 

   
▲ 평해향교 밖 성벽 하단 흔적

 경북 울진군 평해읍은 삼국시대 고구려 영역이었다. 인근 영해 즉 유린군에 속한 근을어현(斤乙於縣)으로 비정된다. 당시 영현은 영내현과 야음현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명종 때 기성현으로 지명을 바꾸고 감무가 설치된다. 고려 충렬왕 때 평해로 바꾸고 군으로 승격한다. 이때까지 군사행정 치소는 기성현에 있었다. 공민왕 6년(1357년) 기성현이 평해군에 병합된다. 이때 치소를 기성현에서 남쪽으로 7km 떨어진 평해읍으로 옮기게 된다. 평해군은 한말까지 존속하다가 1914년 울진군에 병합된다. 그때까지 평해군 치소는 동해안과 인접한 평해읍이었다. 평해읍은 동쪽으로는 동해, 서쪽으로 태백산맥으로 가로막고 있다. 남쪽으로는 넓은 들(평해들)이 펼쳐져 있다. 서에서 동으로 대명천이 흐른다. 또 평해읍은 백암산에서 발원한 남대천이 월송리와 직산리를 거쳐 동해로 흘러든다. 동해안을 지키던 월송만호진은 약 2㎞로 매우 가깝다. 고려 말 위치상 왜구의 준동은 불 보듯 뻔하다. 평해읍성은 군사행정 치소로 방어에 적격이다.

고려 말부터 근세까지 평해군 치소는 평해읍 평해리다. 마을안에는 백성을 보호하고 군사, 행정 기능을 함께해온 평해읍성 자취가 지금도 남아 있다. 평해읍은 본래 강원도 땅이었다가 1963년 경북으로 이관된다. 평해읍성 기록은‘관동읍지’에 있다. 신라 선덕왕 대 석성으로 초축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도비지’와 ‘대동지지’에는 초축을 고려 말로 기록했다. 고려 공민왕 6년(1357년) 본래 치소였던 기성현을 평해군으로 편입한다. 이즈음 치소를 남쪽 평해읍으로 옮긴다. 이 무렵 처음 쌓았다는 것. 이후 1451년과 1492년께 수축이 이뤄진다. 성벽 높이는 수축 때마다 다르다. 둘레는 평균 2,325척, 오늘날 약 725m에 이른다. 읍내에는 읍성의 존재를 입증하는 상성리, 하성리 등 마을이름이 남아 있다.
평해읍성은 남북이 짧고 동서가 긴 타원형이다. 전체 형태는 북쪽에서 남쪽을 에워싼 삼태기 형이다. 체성은 북동쪽과 남서쪽을 빙 둘러 3분의 2 가량 흔적이 남아 있다. 잔존 구간 체성은 1km쯤 돼 보인다. 남동쪽 체성은 시가지 개발로 사라졌다. 성벽 쌓기는 토석 혼축식과 석축식이 읽혀진다. 평해읍성은 북쪽이 구릉지대이고 남쪽은 평지다. 형태상 평산성으로 분류된다. 면적은 약 55,000㎡에 이른다. 체성은 바깥쪽 높은 구간이 무려 7m에 이른다. 안쪽 낮은 구간은 1m에 불과한 구간도 있다. 4대문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옛 기록에는 남, 북문만 확인된다. 나머지는 위치만 비정할 뿐이다.

기록에 없지만 서문 터로 보이는 지점도 눈에 띈다. 농협창고 북서쪽 민가 골목길 끝 지점이다. 추정 서문 터는 읍성 안길을 따라 북서쪽으로 가다가 왼쪽 끝 골목 주택가 안길로 들어서야 만난다. 주택이 들어서면서 체성이 끊겼지만 읍성 안팎으로 왕래가 빈번했을 것 같다. 문터 좌우 성벽 또는 성문이었을 체성의 하단흔적이 뚜렷하다. 주택가 축대로 사용됐지만 성 돌 1개 규모가 1x1m를 넘는다. 하단높이만 해도 3m를 훌쩍 넘는다. 서문 터 추정지를 지나면 다시 북쪽으로 길게 토석 혼축 체성이 뻗어나간다. 밖에는 채전이 개간돼 있다. 성벽 아래 굵은 성 돌들이 가지런히 줄지어 드러나 있다. 체성이 지나가는 구간이 분명하다. 성벽을 밖에서 보니 높이 3m 가량 둔덕처럼 보인다. 그러나 안쪽은 높이 2m 가량 성벽이다. 체성위에 올라서면 성벽 폭이 5m쯤 돼 보인다. 바깥에 드러난 하단 성 돌과 안쪽 성벽 사이에 돌과 흙이 드러나 있다. 이곳저곳 성 돌이 나뒹군다. 협축식 성벽 쌓기가 분명하다. 이러한 체성은 북서쪽에서 북쪽, 북동쪽 향교로 반원을 그리며 이어진다.

서문 터 추정지에서 채전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북문 터다. 문터는 양쪽 체성이 엇갈리는 계단식이다. 옹성이나 치성 형태는 보이지 않는다. 폭은 약 4m 높이는 6m 가량으로 짐작된다. 서북쪽 긴 체성은 성 안에서 보면 높고 긴 언덕처럼 보인다. 이 구간은 마치 토성처럼 보인다. 바깥은 높이 7m 되는 직벽이다. 자연스런 방어벽인 것이다. 밖에서 보면 그저 소나무와 수풀이 우거진 평범한 야산처럼 보인다. 성 밖에서 체성을 따라 걷다보면 읍성 동북쪽에 자리한 성황당을 만난다. 고려시대 인물 황서를 기리는 사당이다. 황서는 고려 충렬왕 시기에 왕을 따라 원나라로 들어가 왕을 보필한 인물이다. 이런 공로로 출생지 평해현은 군으로 승격된다. 주민들은 이를 기리기 위해 사당을 짓고 배향해오고 있다.

체성은 여기서 동쪽으로 이어진다. 이어 성곽 밖에 평해여중, 안에 평해향교가 보인다. 곡선을 그리는 체성이 마치 향교 담장처럼 보인다. 성벽 밖은 개 사육장과 비닐하우스, 채전이 차지한지 오래다. 체성이 끝나는 지점에 민가가 한 채 있다. 집 서쪽 처마 뒤로 지붕보다 높은 성벽이 나타난다. 초기 성곽 축성 형태 그대로 아주 웅장하다. 북동쪽 체성은 여기서 끝이 난다. 골목길을 내려가니 다시 주택가가 시작된다. 마을 안 공터마다 석축이 간간이 눈에 띈다. 성곽 시설 일부처럼 보이지만 확인할 길이 없다.

읍성 안에는 한말까지 동헌 등 관아가 자리했다고 한다. 동헌은 읍성 안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길 끝 지점으로 추정된다. 현재 채전이 둘러싸고 민가가 자리해 있다. 남쪽을 보고 앉은 동헌은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지붕 건물이었다고 한다. 조선조까지 평해군이 존속하면서 군사 행정 업무를 보던 치소다. 그러나 1914년 평해군이 울진군과 통합되고 사라진다. 동쪽에는 정자, 서쪽에는 연당이 있었다. 현재 동헌 남쪽 느티나무가 서 있는 곳은 형옥 터로 알려져 있다. 동헌 북서쪽 공터는 당시 무예 훈련장이었다고 한다. 바로 옆 공터는 죄수를 참형하던 형장이었다고 전해진다. 남문 터는 현 평해읍사무소앞 남북대로와 동서대로가 만나는 네거리로 추정된다. 성문은 흔적조차 없다. 하지만 현지인이 운영하는‘동문식당’이 추정을 가능케 해준다. 읍성에서 남문은 대개 주출입구에 해당한다. 평해읍성 남문도 홍예 위로 멋진 문루가 있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