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1인 가구를 법적인 배우자 없이 혼자서 독립적으로 취사 및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로 정의하고 있다. 1인 가구는 단독 가구, 독신 가구, 독거 가구 등과 같은 용어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고, 영어로 싱글이라는 용어로도 자주 쓰인다.독립된 공간에서 의식주의 일상생활을 혼자 영위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1인 가구는 형성 요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이다.
지난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2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4.5%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비중은 34.5%로 역대 최고로 절반가량은 서울·경기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인 가구는 2015년 520만3000가구(27.2%)에서 매년 증가하다가 2019년(30.2%) 처음 614만8000가구로 600만가구를 돌파했다. 2021년(33.4%)엔 716만6000가구로 처음 7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지속 증가세다.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인원별 유형 중 가장 비중이 높다. 2인 가구가 626만1000가구(28.8%), 3인 가구 418만5000가구(19.2%), 4인 이상 382만6000가구(17.6%)로 뒤를 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1인가구 비중은 1.0%포인트(p), 2인가구 비중은 0.4%p 늘었지만, 3인가구(-0.2%p)와 4인가구(-1.2%p) 비중은 감소했다.1인 가구를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가 19.2%로 가장 많았다. 70세 이상이 18.6%로 뒤를 이었다. 그외 30대 17.3%, 60대 16.7%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30대(22.0%), 29세 이하(19.5%), 여자는 70세 이상(27.9%), 29세 이하(18.9%)에서 1인 가구 비중이 높았다.지역별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대전(38.5%)이었다. 서울(38.2%), 강원(37.2%), 충북(37.0%), 경북(37.0%)이 뒤를 이었다. 울산(30.2%)과 경기(30.2%)는 1인 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1인 가구 10가구 중 4가구(42.6%)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1인 가구의 21.8%는 경기, 20.8%는 서울에 거주했다. 그외 부산(6.8%), 경남(6.2%), 경북(5.7%) 등 순이었다.750만2000의 1인 가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설립되어 있는 고용안정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내 학교, 기업, 지방정부 간의 긴밀한 전달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된다.이보다 더 큰 문제는 평균 수명이 높아져 고령자들의 은퇴 후 삶의 기간도 늘어났지만, 홀로 사는 고령자들이 행복한 제2의 인생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29세 이하의 1인 가구는 홀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70세 이상의 1인 가구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사소한 노동도 하기 힘들어 살아가기가 쉽지 않아 노후 생활의 불안정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방안이 급선무다. 고령자 1인 가구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인 만큼, 각국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다루고 있다. 다만 아직 1인 가구를 위한 별도의 정책을 추진하기보다는 기존 사회안전망 강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일례로 고령자 1인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스웨덴의 경우, 사회적 고립과 그에 따른 정서적 불안정, 질병 등 1인 가구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주택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고령층이 함께함으로써 개인의 자율성은 보장하되 사회적 유대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1인 가구 정책은 크게 주거 지원과 돌봄 강화에 집중되어 있다. 주거 지원의 경우 1인 가구형 공동주택이나 임대 주택의 공급 확대, 1인 가구의 주거 수당 다양화 등을 통해 주거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정부는 각 세대별 1인 가구에 대한 다양한 정책지원(주거, 고용, 기초연금 확대) 등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라고 본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