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문 한동대 명예교수

우리 한국은 1960년에서 1970년대 초 만해도 쌀 부족이 심각했었다. 그 당시 우리나라는 산업화가 진행되며 수도 서울과 몇몇 대도시들은 발전하고 있었지만 농촌지역은 발전이 더디고 빈곤이 심각했다. 많은 농민들이 벼농사를 짓고 있었지만, 천수답이 많아 강우량에 따라 생산이 매우 불안정했고 소출도 적었다.

농민들은 가을이면 수확물을 판매해서 얼마간 돈을 얻었지만, 항상 부족하고 다음 해 보릿고개를 넘기기 힘들었다. 겨울 동안 보리농사를 지었지만 보리 익기 전 보릿고개에는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 당시 쌀을 수입하기도 했고 밀가루 구호물자를 받기도 했지만, 농가살림은 나아지지 않아 정부에서는 쌀 수확량 증산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쌀 절약 캠페인이 1960년대 들어 본격화되었다. 1962년 정부는 원조 밀가루 보급 하에 분식장려운동을 개시했고, 1963년에는 식당, 여관, 호텔 등에서 점심에는 쌀밥식사 제공을 금지하는 양곡소비제한조치가 발표되었고, 1967~1976년에는 혼분식 행정명령을 시달했다. 또한 정부는 필리핀에 위치한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에 전문가들을 파견하여 우리에 맞는 쌀 품종개발에 힘썼다. 이 연구소는 녹색혁명 수행의 주요 기관으로 1962년 미국 포드와 록펠러 재단의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통일벼는 농촌진흥청 주도로 이 연구소에 파견된 전문가들의 수년간 노력 끝에 1971년 개발되었고, 이후 정부 행정력에 기초하여 전국 농촌에 보급되었다. 통일벼가 보급되자 1977년 쌀 총 수확량은 1960년대 말에 비하여 30% 이상 증가했다.

일시적이지만 농촌 가구 당 명목소득이 도시를 앞지르기도 했다. 이러한 증산에 힘입어 정부는 1977년 ‘녹색혁명 성취’를 선언했다. 통일벼는 키가 작아서 태풍과 병충해에 강했고, 무엇보다 생산량이 기존 볍씨 대비 30% 이상 높았다. 하지만 일장감응성(日長感應性)이 낮아 충분한 생육기간이 필요했고, 빠른 시기에 모내기를 해야 했다. 정부의 통일벼 보급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함께 농촌으로 확산되었다. 1975년 쌀 총 생산량은 426만 7,000톤으로 쌀 자급률 100%를 최초로 돌파했다. 1977년에는 통일벼 재배면적이 기존 ‘자포니카’ 재배면적을 넘어섰고, 농가 평균 쌀 수확량은 1헥타르(3,025평)당 4.94톤으로 총 생산량 600만 6,000톤을 기록했다. 그리하여 정부는 쌀 막걸리, 쌀엿, 쌀떡 등의 제조를 허용했다. 이 당시 정부는 ‘농공병진정책’을 채택하였고 또한 ‘새마을운동’을 진행하고 있었다. 또한 정부는 ‘이중곡가제’를 채택하여 농민들로부터 시세보다 비싸게 쌀을 매입하고 도시민들을 위해 이 쌀을 좀 싸게 시장에 풀었다.

1980년대 이후 계속되는 대풍과 쌀 소비 감소로 1989년부터는 쌀이 남아돌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수확 품종이지만 맛이 푸석하여 한국인에게 좀 안 맞는 듯한 통일벼는 매력을 잃었고, 양에서 질로 식량 생산 정책도 바뀌게 되었다. 하지만 통일벼의 육종과정에서 축적된 유전자원과 육종기술은 맛과 건강을 앞세운 기능성 벼 육종을 위한 원동력이 되었다. 이제 한국의 쌀은 수량성과 맛을 정복하고 건강기능성이 더해진 다양한 유색미로 진화 중이다. 유색미는 도정 전 현미의 색이 검은색, 빨간색, 녹색 등으로 각기 다른 영양학적 가치를 지닌 색소로 이뤄진 ‘색이 있는 쌀’이다. 유색미에는 ‘파이토케미컬 (Phytochemical)’로 불리는 기능성 성분이 들어 있어 항산화 및 스트레스 저항력 향상, 면역력 증진 등의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농진청의 KAFACI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협의체)와 KOPIA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를 중심으로 농식품부, 농어촌공사, 유엔세계식량계획 등이 협업해 아프리카의 벼 품종 개발과 종자 보급 체계를 구축하는 ‘K-Rice Belt 사업’이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보릿고개를 해결해 준 통일벼에 그곳의 벼를 결합하여 아프리카 세네갈에서 큰 효과를 나타내면서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 녹색혁명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 사업은 우리나라의 농업기술을 활용해 아프리카의 식량난을 해결하려는 야심에 찬 시도로 우리나라는 벼 육종 전문가 2명을 세네갈 소재 ‘아프리카 벼 연구소 사헬센터’로 파견해 벼의 육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배양 기술을 통해 4,000여 개의 유망 계통을 만들어냈다. 만들어진 각 유망 계통은 19개 회원국으로 보내져 각국의 현지 품종과 교배하거나 국가별 선발과 적응성 시험을 거쳐 2023년에는 르완다의 ‘KATETA21-1’ 등 6개국에서 15개 품종이 등록됐고 가나, 우간다 등 10개국에서 31개 품종이 등록 심사 중이다.

이들 중 2017년 12월 세네갈에서 등록된 ‘이스리-6’과 ‘이스리-7’ 품종은 수량성이 우수하고 밥맛이 좋아 현재 빠른 속도로 아프리카의 농업전문기관 및 농가에 보급되고 있다. 세네갈 농업연구청에서는 ‘이스리가 기존 재배하던 사헬보다 수확량이 2배 많고 도정률이 높아 생산성과 소득향상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개발도상국들은 세계적인 거대한 육종회사에 로얄티를 내며 좋은 품종의 농작물 씨앗을 얻을 수 있었으나, 우리나라는 이러한 벼 만이 아니라 수경재배를 통한 씨감자, 조생종 옥수수, 그 이외 다양한 환금작물들을 농촌진흥청, 코이카 등을 통해서 이들에게 소개하고 재배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 이는 우리의 이익을 바라지 않는 공적인 국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전략으로서 행해지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