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모니카 수필가

마루는 나이를 많이 잡수신 모양입니다
뭉툭 귀가 닳은 허름한 마루
이 집의 내력을 알고 있을 겁니다
봄볕이 따신 궁둥이를 디밀면
늘어진 젖가슴을 내놓고, 마루귀에서
이를 잡던 쪼그랑 할멈을 기억할 겁니다
입이 댓발이나 나온 며느리가 아침저녁
런닝구 쪼가리로 박박 마루를 닦던
그 마음도 읽었을 겁니다
볕을 따라 꼬들꼬들 물고추가 마르던 쪽마루
달포에 한 번, 건미역과 멸치를 이고 와
하룻밤 묵던 입담 좋은 돌산댁이 떠나면
고 여편네, 과부 십 년에 이만 서 말이여
궁시렁궁시렁 마루에 앉아 참빗으로 머릴 훑던
호랑이 시어매도 떠오를 겁니다
어쩌면 노망난 할망구처럼 나이를 자신 마루는
오래전, 까막귀가 되었을지도 모르지요
눈물 많고 간지럼을 잘 타던 꽃각시
곰살맞은 우리 영자고모를 잊었을지 모르지만,
걸터앉기 좋은 쪽마루는
지금도 볕이 잘 듭니다
마루 밑에 누구의 것인지 찌든 고무신 한 짝 보입니다
조용한 오후
아무도 살지 않는 빈 마루에 봄이 슬쩍 댕겨 갑니다



<수필가가 본 시의 세상>

24행의 시어 속에 어쩌면 백 년도 넘었을 세월의 긴 서사를 다 담았다. ‘시골집 마루’를 빌었을 뿐인데 그 긴 인생사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눈에 환히 보이듯 그 마루를 거쳐 간 숱한 사람들의 삶이 펼쳐진다. 마루는 여인네들의 삶과 밀접한 탓일 게다. ‘쪼그랑 할멈’이 그렇고 ‘입이 댓발이나 나온 며느리’도 그렇지만 ‘돌산댁, 호랑이 시어매, 영자고모’의 등장에다 마루를 노망난 할망구쯤으로 정(情)스럽게 표현한 것이 그렇다. 그 마루를 들락거리는 것도 그 집안의 여자들이 남정네보다 더 많았을 것이고 마루에 앉아, 바깥만 도는 남편들의 속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