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境의 아침>

장엄莊嚴

-박영근

저기 저 단풍 드는 지리산 보아라

법문이랄 게 무어 있겠나

노스님 입적入寂하시고

비로소 제 색色 찾은 거라네

푸르른 심지에 가 닿으려고

확, 그어댄 흔적

누구에게나 있지

번번이 상처만 남기고

타오르지 못해도 노을은

얼마나 아름다우냐

나는 깨친 것이 없어

수미산 주인집에 머슴 살러 갈 거여*

머슴 살러 갈 거여

화엄사 앞마당이

야단법석野壇法席이다

* 도천 스님

-고영서 시집 『우는 화살』(애지,2014)

------------------------------------------------------

<!--[if !supportEmptyParas]--> <!--[endif]-->

광주에 살고 있는 고영서 시인이 펴낸 1시집 『기린 울음』(삶이보이는창,2007) 과 2시집 『우는 화살』(애지,2014)의 시집 제목에는 ‘운다’라는 언사가 모두 들어가 있다. 그 울음의 진원(震源)은 아마도 80년 5월광주민중항쟁의 아픔과 슬픔일 것이다. 고영서의 시를 관통하는 큰 물줄기 하나가 80년 5월 광주민중항쟁이다. 지난 주말 광주에서 가졌던 오월문학제 및 전국문학인대회에 학교 일정 때문에 참여하지 못한 게 여가 아쉬운 게 아니다. 시 「장엄莊嚴」에 등장하는 배우는 단풍 드는 지리산과 노을 그리고 도천(1910-2011) 스님이다. 주연(主演) 배우는 단연코 도천 스님이고 나머지 둘은 조연(助演)이다. 대둔산 태고사 주지, 화엄사 조실인 도천 스님은 102세로 입적할 때까지 절의 일에만 몰두하신 대표적인 사판승(事判僧)이다. 늘, 언제나 “나는 깨친 것이 없어/수미산 주인집에 머슴 살러 갈 거여”라고 하시던 도천 스님께서 딱 한 번 “화엄사 앞마당” 전체를 “야단법석”으로 만들고 큰 법문을 하셨다. 스님께서 새 길 떠나시면서, 화엄사 앞마당에서 지리산 단풍처럼 노을처럼 활활 타오르면서 말없이 남기신 그 법문(法問)이다. 장엄(莊嚴) 그 자체다.

-이종암(시인)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