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탄핵전 대결단' 4+4회동 제안…바른정당, '포스트 탄핵' 5당대표 회동 제시

의원직 총사퇴 제안 놓고 치열한 신경전…보수주도권 경쟁 격화 전망

보수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은 13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에 대해 확연히 엇갈린 해법으로 평행선을 달렸다.

새누리당은 헌법재판소 결정 전 여야 간 정치적 타협을 통해 탄핵정국을 풀 해법 모색을 주장했다. 반면 바른정당은 탄핵 이후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여야 지도부의 회동을 제안했다.

특히 바른정당은 탄핵 기각시 자당의 의원직 총사퇴라는 배수진을 치면서, 탄핵 인용시 새누리당의 의원직 총사퇴를 요구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이에 새누리당은 ‘정치적 쇼’ ‘물귀신 작전’이라고 일축하는 등 양당 간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바른정당 정병국 대표는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만약 탄핵이 기각된다면, 탄핵을 추진한 책임으로 바른정당의 국회의원들은 총사퇴할 것”이라며 “이는 전날 바른정당 창당 이후 처음으로 원외 위원장, 국회의원 연석 워크숍에서 7시간에 걸쳐 논의한 결과”라고 밝혔다.

그는 “책임지는 정치를 보여준다는 각오”라며 “반대로 탄핵이 인용된다면 새누리당도 그 책임으로 의원직을 총사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1일에 있었던 촛불·태극기 집회에 참석한 유력 대권주자들과 여야 의원들에 대해 “각각 탄핵 인용과 기각을 주장하면서 국론분열에 기름을 끼얹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였다”며 “관용과 타협의 정신을 버리고 선동과 혼란을 부추기는 모습이 국민 앞에서 부끄러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이라도 정치권은 광장이 아닌 국회에서 헌재 심판 이후를 대비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며 “5당 당대표 회의를 열어 다양한 시나리오를 대비하고 국민에 예측 가능한 미래를 보여주면서 흩어진 민심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현직 대통령 탄핵소추는 어떤 경우든 국가적, 국민적 불행이어서 정치적 해법이 먼저 모색돼야 한다"며 여야 4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정치적 대결단을 위해 참여하는 '4~4 대연석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새누리당은 헌재의 결정이 아닌 정치적 해법을 도출하자는 입장인 반면 바른정당은 헌재의 선고를 기정사실화하고 이후 정치적 혼선을 피할 방안 모색에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자고 주장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한 자릿수까지 떨어졌던 당 지지율이 최근 들어 상승세를 보이고 일각에서 탄핵기각설마저 조금씩 흘러나오는 상황과 맞물려 정치권에서 '제3의 해법'을 모색할 공간이 커졌다고 보는 분위기다.

반면 바른정당은 탄핵이 인용되면 분열된 보수 지지층이 구심점을 잃고 새누리당을 떠나 바른정당으로 결집하면서 지지율이 급반등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배수진을 친 것이란 시각이다.

바른정당은 '보수의 가치를 바로 세우겠다'며 새누리당을 떠나 창당했지만, 정체성 확보 실패와 낮은 대선주자 지지율, 약한 조직기반 등 이유로 당 지지율 하락 국면이 이어지고 있어 의원직 총사퇴란 충격 요법을 들고 나왔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