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향엽 의원·포항환경연대 공동 주최… “국무총리 산하 전담청 설치 필요”

▲ 25일 탄소중립 및 수소환원제철을 주제로 한 국회포럼이 개최됐다. 포스코 제공
탄소중립 시대 한국 철강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국회포럼이 25일 국회에서 열렸다.

포항환경연대와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포럼은 기후위기 대응, 저탄소 공정 전환,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정책적 지원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이날 포럼에는 포스코 조명종 미래철강연구소장, 탄소제로전국넷 한정석 공동대표, 포항환경연대 유성찬 공동대표가 발표자로 나서 수소환원제철을 중심으로 철강산업의 전환 방향을 제시했다.

권향엽 의원은 “광양·포항을 기반으로 한 한국 철강산업은 탄소중립 시대에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분야”라며 “고로(용광로) 체제의 유지가 더는 가능하지 않으며 대규모 예산과 전력이 필요하더라도 전기로·수소환원제철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명종 소장은 포스코가 개발 중인 한국형 수소환원제철(HyREX) 기술을 소개하며 “수소를 환원제로, 전력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공정으로 기존 석탄 기반 제철 대비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HyREX는 저품위 분광석을 직접 사용하는 유동로-전기용융로 기반 기술로, 높은 철 회수율과 슬래그 재활용 가능성 등을 갖춰 경제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포항환경연대 유성찬 공동대표는 “수소환원제철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산업 전환의 플랫폼”이라며 “한국 철강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국가 경제 기반을 지켜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민 인식 전환과 함께 정부 차원의 전담 조직, 즉 국무총리 산하 ‘수소환원제철 전환청’을 신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원 필요성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의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에 8100억원을 투자하고 있지만, 독일·영국·일본·스웨덴 등은 조 단위의 재정 지원을 하고 있어 국내 기업만의 힘으로는 경쟁이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정석 공동대표는 “정부가 재정 지원을 한다면 종합적 관리·총괄 체계도 필수”라며 “수소환원제철은 국가 사업으로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수소환원제철이 향후 탄소국경세(CBAM) 시대의 핵심 대응 수단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발표자들은 “수소환원제철은 철강 부문의 탄소 배출을 70~90% 감축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탄소중립 경제 체제가 강화되면 기술력 확보 여부가 국가 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포럼은 “탄소중립 시대의 철강산업은 새로운 혁명을 요구한다”는 공동 결론으로 마무리됐다.

참석자들은 “수소환원제철 산업은 국민 모두의 미래 자산이 될 것”이라며 “국가적 차원의 정책 추진과 사회적 합의가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