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 이행 촉구
▲지난 7월 세월호 유가족과 각계시민 대표들이 세월호 참사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서명을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전달한 뒤 면담을 하고 있다. |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 이행 촉구
정의화 국회의장이 21일 "그동안 유가족 대표들과의 세 차례 면담에서 말씀드렸듯이 여야 합의로 이뤄진 특별법에 의한 진상규명 과정이 한 치의 의혹이라도 남기는 일이 없도록 국회의원 300명을 대표하여 앞장 설 것"이라면서 25일 본회의 개최를 촉구했다.
정 의장은 이날 오후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통해 "진상규명은 유가족들과 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을 통해 철저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국회의장으로서 세월호 참사 4개월이 넘도록 진상조사를 위한 특별법을 만들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더욱이 19대 하반기 국회가 시작된 이래 시급한 민생·경제 법안 어느 하나도 입법하지 못한 사태에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의 뜻을 받드는 국회 교섭단체 대표가 머리를 맞대고 만든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이 연거푸 좌초되면서 우리 의회정치, 대의 민주제는 위기에 처했다"며 "유가족들의 걱정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이제 세월호 참사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더 이상 늦출 수가 없다"고 했다.
정 의장은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자는 마음은 하나인데 그 방법을 둘러싼 갈등으로 국론이 분열되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우리는 반드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영원히 잊지 않는 길"이라고 했다.
또 "정부예산 결산, 국정감사, 시급한 민생·경제 법안 등을 처리하기 위해 25일에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본회의가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7월 세월호 유가족과 각계시민 대표들이 세월호 참사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서명을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전달한 뒤 면담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