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제주이외 지역에서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지구온난화 등으로 2015년 이후 일본뇌염 매개모기 확인시점이 점점 빨라지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를 실시해 일본뇌염 매개모기를 최초로 발견한 때 주의보를 발령하고, 일본뇌염 환자 발생 또는 매개모기의 밀도가 높거나 채집된 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되는 경우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있는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99%는 무증상이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극히 드물게 바이러스에 의해 치명적인 급성신경계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경산시 관계자는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이 되는 어린이는 표준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 할 것”을 권고하며 “시민들에게는 야외활동 시 모기 회피 요령을 숙지 해 줄 것과 쾌적한 환경을 위해 유충서식지(고인 물)를 없애는 등 모기방제에 동참 해 달라”고 밝혔다.
대구 경산/황보문옥 기자
hmo491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