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미국의 북 선제타격 놓고 날선 공방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후보 등 5명의 대선후보는 13일 후보 확정 후 첫 TV토론에서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북한에 대한 미국의 선제타격시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를 놓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TV토론회는 이날 오전 한국기자협회·SBS 초청으로 서울 상암동 SBS 공개홀에서 열렸다.
문 후보는 사드배치는 "찬성이냐 반대냐, 또는 배치냐 철회냐 등 양쪽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다음 정부로 미루자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후보는 미국의 북한 선제 타격시 "미국 대통령에 전화해서 우리의 동의 없는 미국의 일방적 공격이 안 된다며 선제공격을 보류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홍준표 후보는 안 후보에게 "사드배치도 왔다 갔다 했다"고 지적했고 문 후보에게는 "북한에 먼저 가겠다는 말을 취소하나"고 묻자, "만약 핵을 폐기할 수 있다면 홍 후보는 북한에 가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아울러 "만약 (미국의) 선제타격이 이뤄지면 전군 비상경계태세를 내리고 전투 준비해야 한다. 국토수복작전에 즉각 돌입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철수 후보는“국민의당은 당론으로 사드에 반대했는데 지금도 같은 입장인지 묻고 싶다”는 유승민 후보의 질문에“사드 배치 문제도 상황이 바뀌면 그에 따른 대응도 바뀌는 게 당연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와튼스쿨 동문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쟁은 절대 안 된다고 얘기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도 북한에 압력을 가하라고 얘기하겠다"고 말했다.
유승민 후보는 "사드배치는 우리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당연히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이) 선제타격을 한다면 한미간 충분한 합의하에 모든 군사적 준비를 다 한 상태에서 해야 하고, 우리의 군사적 준비태세를 충분히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심상정 후보는 "5명의 후보 중 사드 반대는 저 혼자인 것 같다"며 "사드로 핵을 못 막는 것을 알지 않느냐. 사드 때문에 경제위기가 오고, 사드 때문에 한반도가 강대국의 각축전으로 전환하는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5인의 대선후보자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 문제를 놓고도 각기 다른 입장을 내놓았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박 전 대통령의 사면에 반대했고, 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유보적 입장을 표명했다.
문 후보는 "저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박 전 대통령의 사면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며 "박 전 대통령이 구속되자마자 그날 사면을 얘기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심 후보는 "지금 대한민국을 구하기 위해서는 정의를 바로 세워야 한다. 대통령을 절대 사면하면 안 되는 이유"라며 "박 전 대통령이 유죄 판결을 받으면 법대로 심판 받는다는 것을 반드시 보여줄 때 새로운 대한민국이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사면권은 남용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씀 드린다. 박 전 대통령 사면은 재판이 시작되지 않았는데 앞서가는 얘기"라며 "유명무실해진 사면위원회를 제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 후보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유무죄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면권을 논한다는 것은 질문이 잘못된 것"이라고 했고,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는 "사법적 판단이 날 때까지 기다려보고, 그 때 가서 국민적 요구와 시대적 요구 등을 보고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유 후보는 "저는 법치에 대해 누구보다 엄격하다. 사법적 판단이 다 끝날 때까지 기다려 보겠다. 그때 가서 국민의 요구, 시대적 상황을 다 봐서 결정하겠다"면서 "재벌총수의 불법비리에 대한, 그것 때문에 법의 심판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사면이나 가석방, 복권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