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가 새 정부 출범 한 달이 지난 지금 기존의 요구사항을 관철하기 위해 총파업을 선언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위원장은 조합원들에게 옥중서신을 보내 이달 30일 '사회적 총파업'을 독려했다. 이에 따라 이달 말부터 노동계가 줄줄이 총파업에 돌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부기관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모임인 공공비정규직노조는 20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비정규직 당사자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무기계약직과 정규직 간 차별을 조속히 없애달라고 압박하고 있다.
특히 초·중·고 급식 등을 주로 담당하는 학교비정규직노조도 무기계약직을 정규직화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6일까지 총파업 투표를 벌인 이들은 21일 기자회견을 열어 투표 결과를 공개하고, 종로구 세종로 소공원과 중구 대한문 앞 등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상경 집회와 청와대 인근 행진을 벌인 건설노조도 총파업 투표에 들어갔다.

민노총은 불법 하도급 근절과 내국인 건설노동자 고용 대책을 마련을 정부에 강하게 주문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총파업을 벌이고 있는 화물연대도 다음달 1일 결의대회를 열어 문 대통령의 공약인 표준운임제 도입,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3권 보장 등 이행을 촉구할 방침이다.

민주노총 홈페이지 게시 글에서 한 위원장은 정경유착의 공범 재벌, 개혁의 대상 권력기관과 기득권 집단이 코너에 몰려 있는 지금이야말로 칭기즈칸의 속도전으로 개혁을 밀어붙일 적기라고 했다.

민노총은 문 정부 초기에 총파업을 벌이는 데 대한 논란을 의식해 6.30 총파업은 일부의 우려처럼 새 정부의 발목을 잡는 것이 아니라며 광장의 촛불을 이어받은 투쟁이고 문재인 정부의 개혁 추진을 위한 강력한 동력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진보연대와 전국유통상인연합회 등 50여 단체가 모여 꾸려진 최저임금 만원 비정규직 철폐 공동행동(만원행동)도 21일 사회적 총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노동 관련 공약을 상당수 내놓고 취임 이후에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취임 한 달, 내각이 모두 갖춰지기도 전에 또 한 번의 시험대에 올랐다. 안보와 외교문제로 국민들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시점에서 노동계의 행동에 정부가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지 지켜보고 있다. 정부는 총파업에 슬기롭게 대처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