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에서는 전남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첫 발생 즉시 긴급 가축방역협의회를 소집해 행정, 유관기관(경찰·소방·군), 수의사회, 축산농가의 역할을 분담을 명확히 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대응태세를 갖추고 상황 종식 시까지 철저한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했다.
더불어 긴급예비비 1억원, 재난관리기금 5억원을 즉시 긴급 편성해 어떠한 상황서도 바로 대응할 수 있는 행정조치를 했다.
이어 시는 도내 최초로 거점소독장 2개소(하양·자인), 이동초소 4개소를 일인원 15명 24시간 운영해 축산차량 소독 1만5천대 소독과 소독필증 교부, 외부 가금류가 지역 내 유입되지 않도록 했다.
또 가축방역차량 2대와 축협공동방제단 소독차량 2대, 광역방제기 1대를 임차해 가축사육 밀집지역과 금호강, 오목천변 철새서식지를 매일 집중 소독했으며, 양계농가별 전담공무원을 지정해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농장 출입차량, 축사 내·외부, 대인 소독 등 농장 단위의 차단방역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시에서는 AI 확진 전 공격적 총력 선제적 대응으로 시를 방문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금호강과 우심지역 소규모 가금농가를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4천여수의 수매도태를 실시하고 수매도태라는 용어를 농림부에서 전국에 사용하도록 하는 앞서가는 행정력을 전국에 과시했다.
이 뿐 아니라 AI 바이러스의 주 전파 매개체인 야생조류의 가금농가로의 유입 차단을 위해 조류기피제를 전국에서 처음 사용해 전 지자체로 확산 사용하도록 했고, AI 발생시 가장 빠른 시간 내 매몰처리를 위해 매몰업체와 협약해 3시간 내 매몰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에서는 국비 5억원을 확보해 연중 24시간 무인 친환경 축산차량소독장 설치해 지역 축산농가나 경산을 방문하는 외부차량이 언제든지 소독 가능한 시설을 전국 최초로 운영하고 있다.
최영조 시장은 “우리 지역이 청정지역을 지킬 수 있기 위해서 축산농가의 자발적 노력과 축산단체, 유관기관의 협조체제가 가장 중요한 만큼 가축질병 없는 경산 만들기에 다 같이 노력하고 농가에서는 자체방역에 최선을 다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