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신문 “법적, 제도적 장치로 대화 협력 방해받아”

북한이 사흘째 5·24 조치의 해제와 금강산 관광의 재개를 요구하며 우리 측을 비난하는 압박전술을 구사하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대화와 대결은 양립될 수 없다'는 제목의 정세론 해설에서 "대화와 협력이 진행되자면 그에 유리한 환경과 분위기부터 조성돼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신문은 "금강산 관광은 '6·15공동선언'이 낳은 옥동자"라며 "그와 관련한 (남측의) 입장은 북남관계 개선을 바라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것을 가르는 시금석"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5·24 조치와 관련해선 "동족과의 대화와 협력, 왕래과 접촉을 차단하고있는 악명높은 대결장치"라며 "남조선 당국이 대화와 협력에 관심이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은 5·24 조치의 해제에 대한 태도에서 명백히 드러나고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신문은 "동족대결을 조장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들은 북남사이의 대화와 협력을 방해하는 요인"이라며 "남조선 괴뢰들은 실속없는 대화타령으로 여론을 기만하며 대화가 진행되지 못하는 책임을 남에게 넘겨씌우려는 어리석은 짓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한미연합군사훈련에 대해서도 "북남사이의 대화와 협력을 가로막는 화근"이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북한의 이같은 태도는 우리 측의 지난달 11일 제의한 제2차 고위급 접촉에 대한 즉답을 피함과 동시에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을 우리 측에 책임을 돌리려는 전형적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은 지난 13일과 14일에도 '고위급 접촉 대표단 대변인 담화'와 관영매체 등을 통해 상호 비방중상 중단과 5·.24 조치 해제,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을 압박하면서 대화 중단의 책임을 우리 측에 전가하고 있다. 뉴스1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