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미 마을 주민들 오리농장 허가 취소하라 시청 몰려와 항의집회 ▲ 김천 혁신도시 인접 대규모 개사육장 절대 안 돼 주민항의▲ 칠곡 호국영령 영지 동물장례식장 왠말이냐 군청시위
이에 따라 자치단체가 조례 등 법 개정으로 신고제를 폐지해 모두 허가제로 바꿔야 한다는 여론도 일고 있다.
▲ 구미시 도개면 월림,가산리 주민들로 구성된 오리농장 신축 반대 추진위가 지난 29일 오전 기자회견을 가졌다.
주민은 오전 9시께 시청 정문 앞서 항의 집회를 가진 뒤 10시30분께 구미 열린 나래에서 기자 회견을 했다.
이들은 “노인인구가 많은 우리 마을에서 오리털 비산 시 어르신들의 호흡기 질병 발생우려와 가축 기관지 등에 치명적인 호흡기 질환발생으로 오리농장이 들어서서는 절대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낙동강과 인접한 청정지역인 이곳에 오리를 사육하면 철새로 인한 AI가 발생할 것이 뻔한데 우리 마을 사람들도 오리 한 번 키워본 적 없는데 외지 사람이 오리농장을 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구미시는 당장 허가를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오리농장주는 오리농장은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오리농장 신축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주민들이 계속 방해 시 법적 조치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혀 주민들과 갈등을 예고했다.
▲ 김천시도 지난해 대규모 개사육 시설 설치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대규모 개 사육장이 들어설 곳은 김천 혁신도시 인근으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대형 국립 연구기관이 두 곳 있다.
하나는 우리나라 모든 농산물의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고 또 다른 곳은 동물과 사람의 건강을 지키고 방역을 담당하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다.
이 중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인수공통전염병과 가축전염병예방, 구제역 백신 연구 등 동물검역과 관련 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만큼 철저한 위생과 완벽한 검역 시스템을 갖추고자 검역원 내 마련된 구제역 백신연구센터는 246억원의 세금이 투입됐고, 검역원 건립에 총 2033억원이 소요됐다.
그런데 이곳 길 건너편에는 불법 개 농장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서 나는 소음과 냄새 때문에 이곳 검역원은 물론 주변 주민들의 생활도 파리 등 해충과 개에서 나는 악취로 고통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개 농장주는 경상북도에 “적법한 시설임에도 김천시가 허가하지 않고 있다.”라며 행정심판을 청구했고, 경상북도가 신규 개 농장을 적법시설로 인정 지난 7월 김천시에 건축을 허가하라.”고 통보해 김천시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 칠곡군도 동물 장례식장 설치문제로 시끄럽다.
지난 7월 31일에는 가산면 주민들과 대구예술대학생 200여 명이 31일 오전 10시부터 ‘호국영령 잠든 곳에 동물 화장장이 웬말이냐’며 칠곡군청 입구에서 동물 장묘시설설치 반대 집회를 열었다.
칠곡군 동물 장묘시설설치반대위원회도 “호국의 고장, 칠곡군 가산면에 동물 장묘시설이 들어서는 것은 호국영령들에 대한 모독이며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행위로 절대 용납할 수 없다” 며 결사반대했다.
주민들은 “동물 장묘시설에서 배출될 소각가스와 악취, 분진, 수질오염 등으로 가산면은 혐오지역으로 전락할 것”이라며 약 1시간 가량 집회를 벌였다.
이번 집회는 호국영령들이 잠든 곳 인근으로 인근 가산면 다부리 대구예술대학교도 이곳에 있어 이 대학 학생들은 물론 인근 가산면 다부1·2리, 학산리, 송학리, 석우리, 천평리 일부 주민들도 피해가 예상된다며 모두 집회에 참석했다.
또한 주민들은 칠곡군민들을 대상으로 1천여 명 반대서명운동에 돌입해 동물장례식장 설치 저지에 온 힘을 들여 나갈 방침이어서 동물 장례식장과 갈등을 빚고 있다.
이처럼 농촌 지역 곳곳에서 혐오시설 설치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지만,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 하에서 마땅한 저지 방법이 없어 주민들과 업체 측은 날이 갈수록 갈등의 골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남보수 , 윤광석, 강명환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