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특활비·다스 등 ‘수사 다지기’ 총력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을 평창동계올림픽 폐막 이후에 소환해 조사하기로 내부 방침을 굳힌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검찰 수뇌부는 최근 서울중앙지검과 서울동부지검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사건 수사팀’으로부터 수사 진행 상황을 보고받고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이 전 대통령 소환은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전직 대통령이 수사 대상인 이번 사건의 무게와 사회적 파장을 고려해 수사 과정에서 철저한 증거 확보로 ‘정치 보복’ 논란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특히 검찰은 최근 이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던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일부 국정원 자금 수수 사실을 시인하는 등 중요한 태도 변화 조짐을 보이는 점과 아울러 여러 추가 혐의로 조사를 받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태도 변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해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지기’ 성격의 수사를 충실히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린 평창동계올림픽 분위기가 이미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 전 대통령이 검찰 포토라인에 설 경우 국론 분열 논란이 일 수 있다는 점 등도 고려 대상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청와대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이 전 대통령에게도 평창올림픽 개막식 초청장을 보내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날 검찰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아직 확인할 것이 꽤 남아 있다”며 “현 상태에서 이 전 대통령을 소환한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설령 소환한다고 해도 올림픽이 끝나고 나서 3월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을 향한 검찰 수사는 크게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청와대 특활비 상납 의혹’ ▲자동차 부품사 ‘다스의 실소유’ 의혹 ▲이명박 정부 ‘국정원과 군 사이버사령부의 불법 정치관여’ 의혹 등 세 갈래로 나뉘어 진행 중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가 수사 중인 국정원 특활비 의혹과 관련해서는 김백준 전 기획관이 4억원대 불법 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고, 이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도 억대 국정원 특활비를 건네받은 혐의로 26일 검찰 소환 조사를 받았다.

이어 김주성 전 국정원 기조실장이 이 전 대통령을 독대해 특활비 상납 사실을 보고했다고 검찰에 진술했고,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도 국정원에서 1억원 가량의 달러를 받아 김윤옥 여사 측에 전달했다고 폭로하면서 이 전 대통령 내외 모두 국정원 특활비 의혹의 중심에 선 상황이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와 동부지검 ‘다스 수사팀’이 동시에 수사 중인 다스 실소유주 의혹과 관련해서도 최근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의 조카인 이동형 다스 부사장, 처남 고(故) 김재정 씨 부인인 권영미 씨 등 핵심 내부자들을 소환 조사하면서 이 전 대통령 측을 강하게 압박해 들어가는 양상이다.

이밖에도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과 국방부 사이버 댓글 조사 태스크포스도 원세훈 원장 시절 국정원의 무차별적인 정치 공작 의혹과 군 사이버사령부의 여론 조작 의혹 수사를 진행 중이어서 상황에 따라선 이 전 대통령을 향한 수사가 급진전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