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수도에서 일본 대사가 공언한 독도의 일본 영토론과 일본 시마네 현의 ‘다케시마의 날’선포로 온 나라를 들끓게 했던 독도 영유권 문제,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등의 후안무치한 섬나라 일본의 도발은 자연적으로는 지근 관계에 있는 한국과 일본의 정신적 거리감이 얼마나 큰지 절감케 하고 있다.

기가 찰 일은 아베 총리는 무라야마, 고노요헤이, 미야자와 담화를 부정하면서 한국에는 기생집이 많이 있어 위안부활동도 일상적인 듯하며 위안부를 강제 동원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존재는 있지 않았으며 꾸며낸 것이라고 홍보하도록 내각에 지시했다. 또 고노담화는 전문가와 역사가를 통해 재검토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후루야는 2011년 5월 미국을 방문해 뉴저지주에 세워진 위안부 기림비 철거를 요구 했으며, 이시하라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위안부를 창녀 “어려울 때 매춘은 매우 이익이 남는 장사다. 스스로 장사를 선택한 것이다”고 했다. 일본인이 한국 여성을 종군위안부로 강제 연행했다는 증거가 없다고도 했다.

우리도 그냥 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 국민들의 분노와 반일 감정이 폭발하여, 규탄 대회가 전국적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고 정부는 이에 맞춰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여론 지도층은 물론이고 일반 국민들도 이런 때일수록 차분하고 냉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쉽게 달아올랐다가 쉽게 식어버리는 우리 국민의 냄비 근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한다. 우리 스스로가 우리에게 냄비 근성이 있으며, 이를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동의하기 힘들다. 만약 이 말이 사실이라면 반성하고 행동과 실천으로 옮겨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전 국민이 한결 같을 것이다.

과거 50여 년 동안 독도 문제가 한일 간의 주요 현안으로 등장할 때마다 우리는 국제적으로 여러모로 곤경에 처해 있었다. 한국 전쟁으로 우리가 분망한 중에 일본은 독도를 일시 강점하였다가 독도 의용대에 의해 쫓겨났고, 국교 정상화 후에는 독도 영유권과 관련한 민감한 조치가 취해질 때마다 일본은 경제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우리의 옹색한 사정을 이용하였다.

이런 까닭으로 도대체 우리 정부는 그동안 어떻게 해왔기에 일본의 경거망동이 계속되는가 하는 비판이 일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독도영유권 문제는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어 있다.

우리가 독도를 지키고 역사를 바로 잡고자 하는 열의와 신념이 넘쳐 날수록 일본의 망언과 망동이 그치지 않고 더욱 드세질 수 있겠지만, 이제는 과거에서 벗어나 일본의 한국 역사 왜곡을 당당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