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3주차 첫날인 20일에는 성남 판교 테크노밸리 공연 사고로 촉발된 '안전문제'가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감에서는 지하철 환풍구와 '싱크홀' 등 안전 문제에 대해 의원들의 질의가 집중됐다. 또 서울시도 시내 각 지역에 있는 환풍구들에 대한 현장 점검에 착수하고 시급히 관리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은 국감 보도자료에서 "서울시의 지하철 환풍구 중 73%가 사람의 통행이 잦은 보도지역에 설치돼 있고 환풍구 높이 기준도 20년 전에 시장 방침을 가지고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또 "백만 명이 넘게 모이는 서울세계불꽃축제의 경우 안전요원을 684명만 배치, 안전요원 1인당 시민 1500명의 안전을 책임지는 꼴"이라고 밝혔다.

김희국 새누리당 의원은 "서울시가 석촌 싱크홀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지하철 9호선 919공구의 부실 감리 실태를 적발하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김경협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국감 보도자료에서 서울시 지하철 대부분 구간에 화재 등 사고에 대비한 피난구 유도등 등 안전시설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안전행정위원회는 판교 테크노밸리 사고와 관련해 경기도와 성남시 등으로부터 긴급 현안보고를 받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는 등 사고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정무위원회에서는 야당의원들이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휴대폰값 부풀리기 등 통신비 문제와 과징금 감면 등 대기업 봐주기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법제사법위원회의 광주고·지법 국감에서는 세월호 사고 책임자들을 엄중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주문이 잇달았다. 임내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준석 세월호 선장 등에 대한 재판에서 살인죄가 인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감이 27일 종합감사를 끝으로 종료함에 따라 여야 의원 간 증인 채택을 두고 막판 힘겨루기도 이어졌다.

국방위에서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인 김관진 전 국방부장관 등의 증인 채택을 놓고 여야가 신경전을 벌였다.

야당은 윤일병 사망사고 보고 경위에 대한 의혹 확인을 위해 김 전 장관의 증인 채택이 필요하고 군 사이버 사령부 대선개입 사건에 연루된 연제욱 전 사이버사령관 등도 증인으로 요구했다.

하지만 여당 간사인 김성찬 새누리당 의원은 김 전 장관의 경우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더라고 사실 규명이 가능하고 연 전사령관 등은 재판 중에 있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냈다.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감에서는 야당 의원들이 이명박 정부시절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지낸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국감 출석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진복 여당 간사는 "만약 최 장관이 위원회 소속 위원으로 출석한다면 자연스레 질의하는 게 좋겠다는 입장"이라고 답했다.

안행위도 이날 진통 끝에 '사이버 사찰' 논란과 관련해 네이버밴드와 다음카카오톡 등에 대한 증인 채택에 합의했다. 뉴스1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