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한 후임자없이 하마평 무성 김무성, 한광옥, 안대희, 김종인 등 거론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대국민담화를 발표하면서 국민들의 이목은 이제 내각과 청와대의 인적쇄신으로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6일 세월호 사고 희생자가족 대표단과의 면담에서 "앞으로 개각을 비롯해서 후속조치들을 면밀하게 세우고 있다"면서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고 이렇게 됐을 때 비로소 조금이라도 마음을 푸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총리 인선과 후속 개각은 오늘부터 시작되는 아랍에미리트(UAE) 실무방문에서 돌아온 뒤에 단행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청와대 안팎에서는 이르면 이번 주 중 정홍원 국무총리의 사표가 수리되고 후임 총리가 내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이후 개혁'을 이끌고 세월호 참사로 어수선해진 민심을 다독이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물을 총리로 발탁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래야만 국정개혁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국민에게 보여주고, 국가개조에 대한 국민적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개혁에 앞장서는 '일하는 총리'와 민심을 잘 다독일 수 있는 '통합형 총리'에 대한 하마평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 세월호 사고수습 과정에서 실망감을 안긴 '관료형 총리'보다는 비관료 출신 '정무형 인사'의 총리기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40대 총리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우선 비관료 출신의 여권 정치권인사로는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강창희 국회의장, 새누리당의 김무성 의원, 최경환 전 원내대표 등이 거론되고 있다.
'통합형 총리'후보에는 호남 출신의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이인제 의원, 심대평 지방자치발전위원장, 이원종 지역발전위원장, 김진선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일하는 총리' 후보로는 박 대통령의 대선후보 시절 정치쇄신위원장을 지난 안대희 전 대법관,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을 추진해 '청렴한 법조인'이라는 인상이 강한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규제개혁 등을 통해 '일하는 관료'로 인정받고 있는 김동연 국무조정실장, 박근혜 대통령 초대 비서실장을 지낸 허태열 전 의원, 김성호 전 국가정보원장 등이 언급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오연천 서울대총장, 정갑영 연세대 총장, 박재규 경남대 총장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밖에 김종인 국민행복추진 위원장, 조무제 전 대법관, 진념 전 경제부총리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의외의 인물을 깜짝 중용했던 박근혜 대통령 인사스타일을 감안하면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인물이 발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독단적인 인사를 하기엔 부담이 큰 만큼 예상인물이 새 총리로 내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도 많다.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