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이후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인식하고 풍부한 의료서비스 활용 적극 추진

외국인 환자유치가 허용된 2009년 대구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2천800여명이었으나 민선 6기 이후 의료관광을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인식해 적극 추진한 결과 2016년에는 비수도권 최초로 2만명을 돌파,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비수도권 최초로 누적 환자수가 11만명을 돌파했다.
현재 대구는 5개 대학병원과 3천700여개의 병·의원, 2만1천여명의 보건인력과 국제의료인증기관인 세계의료평가기관(JCI) 인증을 받은 5개 의료기관 등 풍부한 의료 인프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두 번째의 팔이식 수술 성공 사례를 비롯해 모발이식, 성형, 피부, 한방, 치과, 건강검진 등에서 타 지역에 비해 기술과 가격에서 비교우위에 있다.
이러한 물적·인적 기반위에서 시는 글로벌 수준의 선진의료 서비스 제공을 통해 대한민국 의료특별시가 되겠다는 '메디시티 대구' 선언을 꿈이 아닌 현실로 만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경주했다.
전국 최초로 의료관광 선도의료기관(현재 50개)을 운영하던 것을 민선 7기 에 들어서는 유치업체(현재 8개)까지 선도 기관 지정을 확대하고 전국 최초 외국인환자 안심보험 운영, 전국 최초 의료관광 창업지원센터 개소 등 '전국 최초'의 수식어가 붙는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대구의료관광진흥원을 통해 병원안내·통역·숙박·교통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중국·러시아·동남아시아 등 9개국에 22개소의 해외홍보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각국에 의료관광 홍보설명회 개최 및 온라인 홍보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2009년 2천800여명이던 해외환자 유치실적이 2015년에는 1만3천여명으로 매년 20% 이상씩 성장해 왔으며 2016년에는 비수도권 최초로 2만명(2만1천100명)을 돌파했다.
2017년에는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의 고비를 잘 넘겼으고 2018년도까지 10년 동안 비수도권 최초로 누적 환자수가 11만명을 돌파했다.
또 의료관광클러스터 구축사업에 올해까지 3년 연속 전국 1위에 선정됐고 해외환자유치 선도의료기술에 8년 연속 선정, 2015년부터 연속5회 연속으로 '메디시티 대구'가 대한민국 대표브랜드를 수상했다.
올해는 시가 '메디시티 대구'의 새로운 10년을 시작하는 뜻 깊은 해로써 대구가 '글로벌 의료관광 중심도시'로 비상하는 원년으로 삼아 2020년에는 의료관광객 3만명의 시대를 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는 유치 국가별 맞춤형 홍보와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신흥 유치국가로 부상하고 있는 러시아·독립국가연합(CIS국가)·몽골을 상대로는 중증 및 고액 환자 유치에 타겟을 맞추고 동남아·일본을 향해서는 한류문화와 연계한 성형, 피부 등 맞춤형 의료관광 마케팅을 추진하며 사드 보복을 완화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는 칭다오, 항저우, 닝보 등 지역 중소도시와 직항노선 도시를 거점으로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또 22개의 해외홍보센터를 25개소로, 의료관광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의료관광할인카드를 제작하며 국내거주 해외 유학생과 다문화가정에서 30여명을 선발해 인터넷을 활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홍보단(메디터)을 운영하고 한국관광공사 및 대구컨벤션뷰로 등과 공동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최운백 시 혁신성장국장은 "외국인 환자유치의 의료관광산업은 우리시 미래먹거리 산업중 하나로써 시에서는 민선 6기 이후 전략적으로 꾸준히 투자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