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면에 각각 얼굴 모양이 표현...5세기 경 제작 추정

화랑문화재연구원은 3일 발굴조사 중인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5세기 쯤 만들어진 의례와 관련된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가 출토됐다고 밝혔다.
소월리 유적은 금호강 지류인 청통천 주변 넓은 평야를 조망하는 나지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으며 화랑문화재연구원은 이곳을 발굴조사한 결과 삼국~통일신라 시대 고상건물지와 구덩이, 토기가마, 고려~조선 시대 무덤 등 많은 인간활동 흔적을 확인했다.
땅에 세운 기둥 위에 바닥을 만든 건물인 고상건물은 유적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사용 목적이 분명치 않다. 구릉의 완만한 경사면에 밀집돼 있고, 주변으로 배수를 위한 도랑, 구덩이들, 울타리(추정) 등이 배치된 것으로 봐서 일반적인 거주보다는 특수한 목적의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월리 유적에서 발견된 사람 얼굴 모양 토기는 지름 1.6cm 가량 원형의 구덩이에서 수습됐으며, 바닥을 의도적으로 제거한 시루 1점이 함께 출토됐다.
이번에 출토된 사람 얼굴 모양 토기는 이전에 진주 중천리유적, 함편 금산리 방대형고분 등에서 출토된 토기들과는 달리 삼면에 각각 얼굴 모양이 표현돼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토기는 높이 28cm로 윗부분 중앙에 원통형으로 낮게 돌출한 구멍이 뚫려 있다. 옆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원형 구멍이 있어 귀를 표현했고, 각 구멍 사이에 세 개의 면에 무표정한 듯, 심각한 듯, 혹은 말을 하는 듯한 표정의 얼굴 무늬가 새겨져 있다.
또, 콧등을 중심으로 양쪽을 살짝 눌러 콧등을 도드라지게 한 섬세한 표현이 눈에 띈다. 토기와 함께 출토된 시루 몸통 중간 지점에는 소뿔 모양 손잡이 2개가 부착돼 있다. 토기와 시루는 서로 결합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랑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토기 제작 기법과 특징 등을 보면 5세기 전반, 또는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의례행위와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조사가 진행 중인 구덩이 내부에서는 목재 등이 추가로 확인되고 있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적의 성격을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