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시범마을로 선정된 대구 달서구 두류1・2동 주민들은 지난 20일 마을회관에서 '안전마을협의회 3차 회의'를 가졌다.

세월호 참사 여파로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 달서구 두류동 주민들이 ‘안전한 마을 만들기’에 두 팔 걷어 붙였다.

25일 대구시에 따르면 사업 참여 열기가 뜨겁다.

서대구시장 ~ 구남보건고교 인근 지역에 위치한 두류1․2동은 좁고 긴 골목길과 방치된 공・폐가가 많고, 쇠퇴한 재래시장이 있어 타 지역에 비해 범죄 우려가 높은 지역이다.

이를 안전한 마을로 전환시키기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것이다.

주민들의 안전마을 만들기 활동은 지난 4월 초 ‘우리 마을은 얼마나 안전한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작으로 5월에는 서울에 있는 염리동, 회기동 등 우수 안전마을 현장 견학을 다녀오는 등 적극적이다.

당시 마을주민 2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42.2%만이 ‘우리 마을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마을을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주민들은 CCTV 및 방범등 설치, 순찰강화, 환경정비 등을 꼽았다.

특히 주민대표와 안전 관련 관계기관 등이 참여하는 ‘안전마을협의회’를 구성해 매주 1회씩 모여 골목길 범죄위험지역 및 교통사고위험지역에 대한 대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주민들은 안전에 가장 취약한 곳으로 구남중학교 담벽으로 이어진 좁고 긴 골목, 내당초등학교 주변 통학로, 두류2길 등을 선정했다.

주민들은 이곳에 투시형 담장 설치, 센서 등(燈) 설치, 도로에 전신 거울 설치, 취약지나 옥상에 쉼터 조성 등 사람들이 자연감시가 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시켜 범죄위험으로부터 벗어났다.

한편 대구시는 주민 설문조사,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만든 마을안전지도,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6월 중 마을안전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안전마을 현판식과 마을축제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아울러 7월부터는 인문학 강좌, 주민 방범순찰 등 마을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주민참여 프로그램 운영과 범죄예방 환경정비사업 등의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권정락 안전행정국장은 “안전마을 사업의 성패가 주민들의 참여도에 좌우된다고도 할 만큼 중요하다”면서 “이번 사업이 대구의 안전마을 표준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