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수출업체 53.6% 한중 FTA중국시장 공략 돌파구 될 것
지난해 12월 16일부터 12월24일까지 지역 내 50개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조사 결과 관내 대부분업체들이 실(失)보다 득(得)이 많을것으로 전망했다.
이중 53.6% 업체는 엔저극복, 중국시장 공략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46.4%는 중국기업의 시장잠식을 가속화하는 계기라고 응답했다.
조사결과 구미공단 수출업체들은 이미 중국과 교역(51.9%),중국과 교역추진( 5.9%), 추진의사 없음(22.2%)으로 대답했다.
한·중 FTA로 인해 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74.1%), 혜택타격보다 클 것(18.5%), 타격보다 혜택보다 클 것(7.4%)응답했다.
한·중 FTA 기대효과로는 관세철폐에 따른 가격경쟁력 제고(50.0%), 일본 등 경쟁국보다 유리한 수출여건 확보(17.9%), 중국진출을 겨냥한 해외기업과 제휴확대(17.9%), 중국과 무역분쟁시 구제장치 마련(7.1%), 비관세장벽 완화, 지적재산권보호 등 애로해소(7.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미 수출업체 대부분(59.3%)은 한·중 FTA 대응계획을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해 대책을수립중( 37.0%)인 업체보다 배이상 나타났다.
대응계획의 주된 내용은 수출품목이나 취급제품 확대(38.5%), 신사업 진출(38.5%), 판매가격 인하(15.4%), 영업망 확충(7.7%)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수립하는데 곤란한 점은 내부역량 부족(50.0%), 중국시장의 빠른 변화(44.4%), 국회비준시기 예측불가능(5.6%) 순으로 나타났다.
한·중 FTA 활용에 있어 애로사항은 중국진출 노하우나 네트워크 부족(37.0%), 중국시장 관련 정보부족(33.3%), 원산지 증명 및 관리애로(14.8%), 중국어, 관세 등 전문인력 부족(7.4%), 기타(7.4%) 순으로 나타났다.
FTA 효과 제고를 위한 정부 과제로는 현지상황 등 정보제공 강화(56.3%), 수출마케팅 지원확대(18.8%), 활용컨설팅 제공(12.5%), 연구개발 지원(9.4%), 피해대책 확충(3.1%) 순으로 나타났고 중국산 저가상품 유입에 따른 피해지원 대책은 보조금 등 중국정부의 부당지원 제재(46.2%), 피해구제 절차의 간소화(26.9%), 분쟁해결 절차 신속진행(19.2%), 피해지원금 확대(7.7%) 순으로 나타났다.
구미상공회의소 김달호 조사부장은 “구미공단 주력 수출품인 모바일, LCD 등 전자?광학제품은 이미 중국과 실행세율이 영세율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자동차 부품, 섬유, 플라스틱 제품 등에서 고관세가 단계적으로 완화되면 수출에 영향을 줄것”으로 전망했다.
남보수 기자
bosu88@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