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7곳 전 읍·면·동 주민자치위원회 구성... 공모 통한 393명 시민 참여

▲ 구미시 주민자치실현 팜프렛
구미시가 다함께누리는 구미형 주민자치 도입 시행으로 전국 자치단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주민자치 시스템은 주민 스스로 지역문제 해법 모색을 통해 주민자치를 뿌리내리고 지역 공동체 가치 회복을 위해 추진하는 ‘다 함께 누리는 주민자치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올 한해 동안 지역 내 27개 전 읍면동에 주민자치위원회를 전격 구성했다.

구미시는 지난해 10월 구미시 주민자치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제정한 후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각 읍면동 주민자치위원을 공개 모집해 총 393명의 주민자치위원을 위촉했다.

주민자치위원은 남 230명, 여 163명으로 읍면동 자생단체회원, 전문직, 회사원, 자영업자, 이·통·반장, 강사 등과 연령은 최소 18세에서 최고 80대에서 50대가 48%를 차지했다.

제일먼저주민자치 위원회를 결성한 상모·사곡동은 발빠르게 ‘경북도 주관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공모사업’을 신청해 도비 900만원을 확보했고 선산읍 주민자치위는 지난 8월 광복 75주년을 기념해 태극기 150기를 완전리 등 4개리 주민에 전달해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캠페인을 전개해 호평 받았다.

또 형곡1동 주민자치위도 지난 10월 가을걷기 산행대회를 추진,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주민들의 심신을 위로하고 주민 상호간 화합과 소통을 도모했다.

구미시는 새해에도 읍면동 주민자치 활성화 공모사업,찾아가는 주민자치 아카데미 등 읍면동별 특색있는 사업을 지속 발굴·지원으로 주민자치 저변 확대를 위한 시민 교육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이처럼 구미시의 구미형 주민자치 도입으로 지역 변화시키는 구심체로서 지역 문제 해결 중추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하고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주민참여와 주민자치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작은 물방울이 모여 바다를 이루듯 삶에 뜻 깊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주민자치 전문가들은 주민자치 성공과 실질화를 위해서는 △관료 개혁과 주민자치회에 재정권 부여△통·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계층 구조와 기능의 재정립 △도시와 농촌 지역 구분 △주민자치회와 시의회 간 상호 보완 및 협력적인 관계 정립과 제도적인 측면 △비공식적인 규범결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