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 면수 여전히 부족한 상태, 보안시스템 강화로 민원 소통에 개선점도

일각에선 주차장 면수 부족은 물론, 보안시스템 강화로 일반 시민 및 언론 등 관계자의 출입이 제한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일고 있다.
◇포항북부경찰서 신청사 추진과정
13일 포항북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포항북부경찰서 신청사는 구청사의 건물 노후 등에서부터 그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구청사는 지난 1985년 5월 21일 준공돼 35년의 역사를 가졌다. 규모는 부지면적 5049㎡, 건물면적 5680㎡, 주차가능 대수 48대다. 1일 이용자수도 약 500명이다.
구청사는 청사 유지보수비가 과다 지출됐고 주차공간이 협소해 이중주차가 필수로 행해질 만큼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에 지난 2011년 11월 국유지 사용승인 협의를 시작으로 신청사 건립을 진행시켜 왔다.
이 과정에서 초기 책정된 예산보다 비용이 늘면서 중앙부처와의 조율과정이 길어져 곤란을 겪기도 했다.하지만 결국, 북부경찰서 직원들과 민원인들의 바램으로 지난 2019년 10월 17일 본격 착공에 들어갔다.
착공에 들어간 공사도 지난해 말 민주노총 대구경북지부 포항사무실의 인력 채용 요구 문제와 부딪치면서 한차례 '공사 중단 홍역'을 치르기도 했으나 시공사와 노조간의 협의 끝에 순항중이다.
◇신청사, 과연 '불만제로'인가?
문제는 신청사가 기존 구청사에서 대폭 바뀌면서 이와 관련해 발생할 문제점들이 예상돼 반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신청사의 주차장 면수도 현재 설계도면상 지상 150면에 불과하다.
주차장 문제를 인지하고 있는 북부경찰서 측은 이를 감안해 부지 내 잔존 면적을 활용하며 30면을 증설할 방침이지만, 순수 내부직원수만 해도 200명에 달하고 일평균 민원인들이 300명에 이르는 점을 감안한다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앞서 본보가 지적한 유치장 관리 부실 제기<본보 지난 4일 4면. 6일 5면 보도>와 관련해서는, 유치장의 위치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확인됐다. 구청사 1층에 위치한 유치장이 신청사 본관동 2층으로 이전되기 때문이다.
다만, 기존 7~8평 규모의 5개실이 3개실로 줄어들면서 '과밀현상'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논란이 일었던 교정시설발 코로나19 확산 역시, 그 근본원인이 과밀수용이었기 때문.
대형 사건·사고 발생시 언론 등을 통해 발표해야할 브리핑실도 설계에서 빠져있다. 경찰 측은 용의자 도주 예방과 관련해서는, 신청사 부지가 다소 저지대인 점과 함께 울타리(강화 펜스)를 설치해 보강할 계획이다.
◇신청사에 적용될 보안시스템, '독'이 될까 '약'이 될까?
신청사에는 지난 2017년 신청사로 이전한 서울 광진경찰서에 도입된 최신식 보안시스템이 적용된다.
보안출입시스템에서는 민원동에서 ID발급카드와 출입증을 발급받아 청사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사안과 관련된 개별 사무실에 방문이 용이했고 전체 서 자체를 출입하는 것도 가능했지만 보안시스템 도입으로 업무에 한정된 방문만이 허용되고, 민원 업무는 오롯이 민원실에서만 해결 가능하다.
일각에서는 이런 시스템이 경찰의 출입시스템의 헛점을 보완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장점도 있다는 의견과 대민 통제의 또다른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의견으로 갈린다.
포항북부경찰서 관계자는 "신청사에 적용되는 보안시스템은 서울 광진경찰서를 모티브로 했다"며 "보안시스템 규칙을 따르지 않을 경우, 자칫 건물 내에 갇힐 수도 있다. 통합민원시스템의 일환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