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마다 3~4000명씩 인구 감소
대학생·근로자 지원금 지급 등
전방위 대책 모색, 성과 미지수
경북 제1도시인 포항시가 5년째 인구 감소에 시달리면서 인구 50만 선 이하로 떨어지지 않느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시 자체에서 '주소갖기 운동' 등을 대대적으로 확산하며 전방위적인 대책 마련에 분주하지만 실질적인 성과가 있을 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17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포항시는 지난 2015년을 기점으로 2020년 12월까지 인구가 계속 줄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현황상, 시는 지난 2011년 51만7100여명에서 2012년 51만8900여명, 2013년 51만9500여명으로 소폭 오름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후 2014년 51만9400여명으로 주춤하다 2015년 51만9600여명으로 오른 뒤 지난해까지 해마다 3000~4000명씩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등록인구상 2020년 기준, 월별로도 300~400명씩 지속적으로 인구가 줄고 있다. 가장 최근인 2020년의 포항시 인구는 50만2900여명이다. 이같은 추세라면 내년께는 50만 이하로 인구가 줄어들게 된다는 산술적 분석이 나오게 된다.
시는 이미 인구감소 현상을 인지해 지난 2015년부터 전국민 주민등록일제정리기간과 연계해 주소갖기 운동을 실시해왔다. 시에 거주하면서 다른 지역에 주소를 두고 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주소 갖기에 대한 적극적 동참을 유도하고 포항시민으로서의 자긍심 고취와 지역사랑 분위기 확산으로 진정한 포항발전을 이끌어 내자는 취지로 진행돼 왔다.
하지만 정책 실시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계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상태에서, 시는 인구 회복을 위해 또다시 '주소갖기 운동'을 재차 확산하는 시정방향을 이어가고 있다. 시는 지난 15일 포스코 회의실에서 포스코 계열사 7개사 대표, 기업 1대1 전담부서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 상생발전 협약식을 가지면서 정책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또한 시는 올해 2월부터 지역외 전입 대학생에게 주소이전 지원금을 최대 30만원까지 지원하고 지역내로 이전, 신·증설, 국내복귀기업에 대해 공장등록일로부터 1년 이내 주소이전 시 가족 세대원 1명당 50만원(셋째 이상 자녀는 100만원)까지 근로자이주정착금을 지급한다. 아울러 향후 지원금 대폭 확대 등 전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시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그러나 올해 지방채를 역대 최대 규모인 800억원 규모로 발행하는 등 시 재정 상태도 녹록치 않은 상태다. 일각에서는 이번 주소갖기 운동에서의 지원금 지급이 자칫 시 곳간이 텅 비게 되는 '이중고'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구 감소시 시는 남·북구청이 폐쇄되고 직원들의 감축도 진행된다. 또한 시 조직 및 행정권한 축소, 지방교부세 감소 등 피해도 이어진다. 시가 추진하고 있는 이차전지 배터리 사업 등도 인구 유입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선 구체적 정책 마련과 지원 정책이 구비돼야 하는 상황이다.
한편, 시는 이번 협약식을 시작으로 18일에는 철강관리공단, 상공회의소 임원 단체들을 대상으로 협약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지역 내 대학, 자생단체 등과 추가로 협약을 이어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