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기술, 블록체인 등 디지털기술로 경북 농업 혁신 방안 마련 / 올해 고추, 마늘 디지털 농업 기술 공동연구... 복숭아 등 과수 분야 확대
경북도농업기술원(이하 농기원)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와 협력해 올해 경주 지역에 '논콩 디지털농업 모델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4일 밝혔다.
농기원에 따르면 경북의 대표작물인 콩은 재배면적이 1만ha로 전국 1위를 점유하고 있다.
주재배지인 경주의 연간 콩 생산량은 136t이지만 두부, 순두부 등의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원료곡의 소요량 1500t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콩 꼬투리가 맺히는 8월에 가뭄으로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수량이 30% 정도 감소한다.
농기원은 콩 생산량 증대를 위해서는 논에 콩을 재배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보고 지난 달 30일 경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영농조합법인 등 농업인, 경주시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노지 콩 재배 디지털농업 현장실증 기술 설명회'를 가졌다.
농기원은 경주시를 생산-가공이 연계된 '신농업혁신타운'으로 조성해 디지털농업의 성공모델로 정착시킬 계획이다.
또 올해부터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와 공동으로 '고추와 마늘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땅속 물 공급기술'에 대한 연구에도 착수했으며 이를 복숭아 등 과수 작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신용습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주요 농업 선진국들이 디지털농업으로 전환 중이다. 구글, 바이엘 등 다국적기업의 디지털농업 투자액은 64억 달러에 달한다"며 "경북 농업도 디지털농업으로 빨리 전환해 미래 성장 잠재력을 확보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수진
5369k@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