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정·우상호 등 과반 불복
宋 대표의 결단 필요한 시점

더불어민주당내 소속 의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진 12명에 대한 탈당권유 이후 상당수 의원들의 반발로 내홍을 겪고 있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탈당을 계속 거부할 경우, 징계절차를 밟을 것이라며 경고했다.

송영길 대표는 지난 8일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 부동산 전수조사 결과 법 위반 의심 사례가 제기된 12명 의원들에 대한 탈당 권유 조치를 내렸다.

이들 12명 중 현재까지 억울하지만 지도부 결정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사람은 김주영·문진석·서영석·윤재갑·임종성 의원 등 5명에 불과하다. 나머지 7명은 크게 반발하며 탈당에 불복의사를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김한정·김회재·오영훈·우상호·양이원영·윤미향 의원 등 6명은 공개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거나 불복 의사를 밝혔다. 김수흥 의원은 탈당 수용 의사를 번복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한정 의원은 업무상 비밀이용 의혹, 김회재·윤미향 의원은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 김수흥·오영훈·우상호·양이원영 의원은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고 있다.

김한정 의원은 배우자가 3기 신도시 왕숙지구 인근 남양주시 일대 토지를 매입한 것에 대해 "신도시 확정 발표는 2018년 12월, 아내가 땅을 구입한 시점은 1년 7개월 뒤"라며 "야당 압박용 불쏘시개, 희생양이 됐다"고 반발을 이어갔다.

김회재 의원도 "제가 명의신탁을 했고 실제 아파트를 팔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난다면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겠다"면서 반박했다.

윤미향 의원의 남편 김삼석씨는 페이스북을 통해 "지금 작태가 노모의 비바람 막아 줄 함양 교산리 집 구입이 소위 부동산 명의신탁이라는 것"이라며 "이게 부동산 투기냐. 제대로 파악하지도 않고 소탐대실하는 민주당 지도부에 큰 실망"이라고 민주당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수흥 의원은 "부모님으로부터 증여받은 농지에 대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씌우는 것에 대해 과연 어느 국민이 공감할 수 있겠냐. 농림부에 확인해보니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다고 했다"고 반박했다.

오영훈 의원은 "증여받은 농지로 실제 농사를 지어오다 국회의원 당선 이후 의정활동과 병행하기 어려워 임대를 해준 것"이라며 "오히려 징계절차를 밟아준다면 소명을 하겠다"고 탈당 권유를 거부했다.

우상호 의원은 "어머니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한 토지 구입으로 묘지를 썼다"며 "억울한 국회의원이 만들어지는 것을 당 이미지 쇄신을 위해 이용한다는 건 정치철학에 맞지 않는다"고 항의했다.

양이원영 의원도 "기획부동산에 사기 당해서 구매한 토지, 가치가 제로인 토지를 구매한 어머니가 농지법을 위반했다고 하면 저는 연좌제로 처벌받아야 하냐"며 불복 의사를 밝혔다.

이소영 대변인은 11일 탈당 불복자들에 대한 당의 조치와 관련해 "지도부가 개별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여러가지 당의 권유에 따른 진행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당규에는 선거 또는 기타 비상한 시기에 중대하고 현저한 징계사유가 있거나 그 처리를 긴급히 하지 아니하면 당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최고위 의결을 통해 징계를 내릴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비례대표인 윤 의원과 양이 의원의 경우 탈당시 의원직을 상실하기 때문에 출당 조치를 받았다. 이를 위해선 소속 의원 절반 이상의 찬성이 필요해 의원총회 안건으로 상정될 예정이다.

송영길 대표는 지난 10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제명 여부와 관련해 "그런 말씀을 지금 드리기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면서도 "하루 이틀 시간이 지나면 왜 우리가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인지 이해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으로선 마냥 기다릴수만은 없다. 따라서 다시한번 송 대표의 결단이 필요한 이번 주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