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과 만찬 앞두고 통합정치 강조
저소득 근로자 지원 근로장려세
세종시 대통령 제2 집무실 설치
균형발전·지방분권 정책 계승
새정부 초반 국정운영 동력 확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8일 이 문재인 정부에서 계승할 부분을 충분히 계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만찬 회동을 앞두고 밝힌 것으로 통합정치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앞선 정부에서 계승할 부분을 충분히 계승하고 잘못된 건 반추해 판단해보는 작업을 함께 병행할 것"이라며 "'ABM(Anything But Moon·문재인 정부가 하던 것 빼고 뭐든지) 같은 가르기는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윤 당선인은 지난 26일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 선정을 위해 열린 인수위 워크숍에서 "현 정부 업무를 잘 인수받아 정부를 출범하면서 국정과제를 세팅하는 가운데서 가장 중시해야 하는 것은 실용주의, 그리고 국민의 이익"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에서 잘못한 것은 왜 그런 일이 생겼는지 잘 판단하고, 현 정부가 한 일 중에서 계승할 것들을 잘 선별해 다음 정부까지 끌고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공약집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활성화된 저소득 근로자를 위한 대표적 정책인 근로장려세제(EITC) 확대를 약속했다. 윤 당선인은 세종시에 대통령 제2 집무실 설치를 추진하는 등 민주당 정권의 오랜 정책 기조인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에도 같은 맥락이다.

윤 당선인은 이날 청와대 만찬 회동을 앞두고 "오늘 의제는 특별히 없고, 조율할 문제는 따로 이야기할 거 같다. 민생이라든가, 안보 현안 같은 얘기는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당선인의 이러한 통합의 정치 행보는 새정부 출범 초반 협치를 도모해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려는 차원으로 분석된다.

또한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미디어헤럴드 의뢰로 지난 21~25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윤 당선인의 국정수행 전망은 긍정 46.0%(매우 잘할 것 28.8%·약간 잘할 것 17.2%), 부정 49.5%(전혀 잘하지 못할 것 37.5%·별로 잘하지 못할 것 12.1%)를 기록했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46.7%)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편, 윤 정부 첫 국무총리 인선에 착수한 인수위는 이르면 이번 주 중으로 발표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후보군으로는 안철수 인수위원장을 포함해 노무현 정부 핵심인사인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 전북 전주 출신인 한덕수 전 총리나 민주당 대표를 지낸 김한길 인수위 국민통합위원장 등 호남이나 민주당 출신의 '통합형' 인사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