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지역내총생산 비중
대구·경북지역 모두 매년 증가
금리 증가시 이자, 年 7만원대
주택담보대출 비중 4만7552원

대구·경북의 가계대출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원)에 따르면 대구·경북의 가계대출이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대구·경북 각각 67.1%, 32.6%였으나 2020년에는 대구 103.1%, 경북 61.8%로 증가했다. 대구는 전국 평균보다 높고 경북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지난해 3분기 대구의 예금은행 대출금 잔액 중 가계대출은 38조 4746억 원,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27조 6697억 원으로 가계대출의 71.9%를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실수요와 투기수요가 크게 늘어나 대구의 주택가격 상승폭이 컸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이 높다. 경북의 경우 예금은행 대출금 잔액 중 가계대출이 15조 6860억 원이었고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8조 6609억 원으로 가계대출의 55.2% 수준이었다. 경북은 대구에 비해 주택가격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별 대출 특성도 대구지역은 서비스업종 중 부동산(12.2%)과 도소매업(9.2%)의 대출 비중이 높은 편이다. 대구의 서비스업 중 대출 비중이 높은 업종은 주로 지역내총생산 기여도가 크거나 경기변동에 취약한 업종이다. 경북지역의 경우 제조업(30.6%)을 제외한 업종 중 대출 비중이 높은 업종은 도소매업(8.4%)과 농림어업(6.0%)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대출금리도 동반상승하므로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매우 높은 대구지역에서는 가계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고정비용 성격이 강한 주택담보대출 부담이 가중되면서 가처분소득이 감소해 소비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금리인상에 따른 효과를 보면,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는 연관성이 높고, 주택담보대출은 타 대출 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낮지만 시중은행과 민간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특히, 시장금리와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바로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0.25%p 증가하면, 대구·경북지역 예금은행 가계대출 이자부담액은 1521억 원 증가하고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990억 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구·경북지역 가계가 추가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이자는 연간 7만3085원이며,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4만7552원이었다. 특히, 대구의 가계대출 부담금은 세대당 11만2434원으로 경북보다 3배 정도 높다.

생활밀착형 서비스업의 2019년 연간 매출액 평균을 100으로 보았을 때, 코로나19의 확산 시점인 2020년 3월에 대구는 68.7%, 경북은 69.4%로 2019년 대비 각각 22.6%p, 11.8%p 감소하였다. 이후 대구는 2019년 수준에 근접하게 매출액이 증가했지만 최근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2019년 대비 낮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 경북은 2019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 2월 88.2%로 매출액이 떨어졌다.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대구경북의 소비는 2019년 대비 낮은 수준으로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이에 더해 가계대출 상환부담금 증가는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지역경제 회복을 지연시키고 있다.

이에 대경원은 정부는 소비자물가, 환율안정, 수출증대, 소득증가를 한꺼번에 잡으려는 정책은 자제하고 거시경제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재정, 금융정책의 공조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특히, 단기간 금리인상이 계속되면 방어력이 취약한 저소득층의 연체율 증가는 불가피한 상황이므로 서민금융상품의 적용 대상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서민경제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