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 추가 징계 결정 일단 미뤄
수해현장서“비 왔으면···’ 실언
김성원 당원권 6개월 정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당 윤리위원회의 추가 징계착수에 들어간 가운데 다음달 6일 심의를 진행한다. 또 앞서 열린 '연찬회 술자리'로 물의를 빚은 권성동 전 원내대표에 대해서도 징계 절차를 개시했다.
윤리위는 전날 늦게까지 진행된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의결했다. 당초 윤리위 전체 회의 안건에는 이 전 대표의 추가 징계가 포함되지 않아 추후 회의로 연기됐다.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29일 새벽 전체회의가 끝난 직후 기자들에게 "이준석 당원에 대한 징계 절차도 굉장히 중요하지만 다른 징계 절차 개시 건들도 몇 개 있었다"며 "차기 회의를 10월 6일로 잡았다. 10월 6일에는 이준석 당원과 권성동 당원 모두 출석 요청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리위는 지난 18일 긴급회의를 열어 윤석열 대통령 등에 대해 '양두구육', '신군부' 등 비난 발언을한 이 전 대표에 대해 추가 징계 절차를 개시했다.
한편, 당 안팎에서는 윤리위가 이 전 대표에 대해 추가 징계를 결정한다면 징계 수위는 최소 '당원권 정지 3년' 또는 '제명' 까지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이 전 대표는 지난 7월 8일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를 받은 상태이다. 당헌당규상 추가 징계 시엔 앞선 징계보다 높은 수위의 징계를 내릴 수 있게 돼 있다.
하지만 윤리위가 또 다시 이 전 대표에게 추가 중징계를 내릴 경우 또다시 법정 공방 등 후폭풍이 예상되면서 큰 부담을 안고 있는 만큼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윤리위는 또 이날 회의에서 권 전 원내대표에 대한 징계 절차 개시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권 전 원내대표에 대한 징계 요구는 외부에서 접수됐다. 이 윤리위원장은 "지난 8월25일 국회의원 연찬회 당시 당내 비상상황 등에 따른 금주령에도 불구하고 음주 및 노래 모습이 외부에 공개돼 윤리규칙 4조(품위 유지 조항) 위반 여부를 심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리위는 수해 복구 현장에서 '비 좀 왔으면, 사진 잘 나오게'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김성원 의원에게는 '당원권 6개월 정지' 중징계를 내렸고, 경찰국 신설을 반대하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을 주장했던 권은희 의원에 대해선 '엄중 주의'를 내렸다.
또한 '후원금 쪼개기' 의혹으로 기소돼 재판에 넘겨진 김희국 의원(군위·의성·청송·영덕)에 대해서는 당헌당규에 따라 피선거권 및 공모에 대한 응모자격 정지, 당직 직무 정지 처분을 내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