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與전대 '룰 전쟁'…"당심 100%" "현행대로" 갑론을박
1월초 목표로 룰 개정 드라이브…'尹과 충돌' 이준석 사태 재발 방지
김기현·권성동 '룰 개정 찬성'…안철수·윤상현·나경원·유승민 '반대'

국민의힘이 차기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모드로 전환하면서 '룰 전쟁'도 막이 올랐다.

친윤(친윤석열)계를 중심으로 현재 당헌상 '7:3'으로 규정된 당심(黨心)과 민심(民心) 비율을 '9:1' 또는 '10:0'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심'은 당원투표를, '민심'은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의미한다. 친윤계 주장은 전대를 사실상 당원투표로 치르자는 것이다.

여권 핵심부에선 늦어도 내년 1월 초를 데드라인으로 하고 전당대회 룰에 관한 당헌개정 작업에 나서는 로드맵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중 당원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는 등 여론 수렴 과정을 거친 뒤, 당헌개정특위를 통해 구체적인 개정안을 내고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통해 확정하는 것이다.

당심 비율을 '확' 높이는 룰 개정에는 친윤 의원들이 가장 적극적이다.

전당대회는 국민의힘 대표를 뽑는 자리인 만큼, 야권 지지자가 응답할 수도 있는 일반국민 여론조사의 비중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에는 내후년 총선 공천권을 쥐게 될 차기 당권경쟁에서 친윤계가 밀려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당심 투표 비율을 높이면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을 업은 친윤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데 대체적 관측이다.

친윤계 일각에선 '이준석 사태'를 재현해선 안 된다는 논리로 전대룰 개정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준석 전 대표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당심에선 나경원 전 의원에게 밀리고도 압도적인 일반국민 여론조사 지지로 당선됐다.

이후 이 전 대표가 사사건건 윤석열 대통령과 부딪치며 당내 분란을 초래했던 전례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는 얘기다.

한 친윤계 초선 의원은 8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 전 대표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끝장"이라며 "당대표 선출 뒤 1년 뒤에 있는 총선과 연계해 당헌개정을 주저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윤계 초선 의원도 통화에서 "당심 비율을 높이는 과정에서 비판이 있더라도 밀고 나가야 한다. 룰 개정은 반드시 관철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친윤계가 당내 다수 세력이긴 하지만, 전대 룰 개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룰에 따라 셈법이 엇갈리는 당권주자들 사이에서 찬반양론이 분출하고 있다.

친윤 주자인 김기현·권성동 의원은 당심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원들의 의사가 당연히 절대적으로 반영돼야 한다"고 했고, 권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당원투표 100%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안철수·윤상현 의원과 나경원·유승민 전 의원은 룰 변경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특히 일반국민 여론조사에서 1순위에 오르내리는 유승민 전 의원은 전날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룰 개정을 놓고 "삼류 코미디", "축구 골대를 옮기는 것" 등에 비유하며 작심 비판했다. 유 전 의원은 윤 대통령과 정부·여당 정책에 쓴소리를 쏟아내며 비윤(비윤석열) 대표주자로 꼽힌다.

친윤계로 분류되지만, 윤 의원도 이날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지난 경선 때 9:1에서 7.5:2.5로 민심 비율을 올린 것을 거론한 뒤 "우리 당이 7:3에서 9:1 정도로 바꾸는 것은 모양상 좋아 보이지 않는다"며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는다면 지금 같은 7:3 비율도 손색이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여권 내에선 전당대회에서 윤심 향배에도 촉각이 쏠린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주자의 당 대표 출마에 비판적이라는 언론 보도도 나왔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대통령이) 그런 말을 했을 리 없다"며 선을 긋는 분위기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